(5) 빚더미 인천시, 조직위는 나몰라라
시, 지방채 발행 경기장 신축 포함 1조2523억원 투입

부채 1조7502억 … 15년간 매년 673~1573억 상환해야

대회 파급효과 과대평가 무리한 유치 사전경고 불구

조직위 "운영비만 따지면 적자는 아닐 것" 천하태평



인천아시아경기대회에 들어간 비용은 모두 2조1996억원이다.<표1 참조>

경기장 건설비용 등 각종 시설비가 1조7173억원, 대회 운영비가 4832억이다.

인천시는 이 돈으로 대회 경기장 49곳 중 17곳을 신축하고 12곳을 보수했다.

인접도시와 민간·민자 경기장, 훈련시설 등에도 예산을 투입했다.

이렇게 들어간 예산 중 정부 지원 금액(경기장 공사비는 30%, 도로 개설은 50%)을 빼면, 인천시가 지방채를 발행해 인천아시아경기대회를 치르는 데 쏟아부은 금액(원금)만 1조 2523억원이다.

이제 대회는 끝났고, 이는 모두 고스란히 인천시의 부채로 남았다.

인천시는 2029년까지 이를 갚아야하는데 이자까지 계산하면 그 금액은 무려 1조7502억원에 달한다.<표2 참조>



▲빚더미에 앉은 인천시 … 시민 피해 불보듯

시는 내년부터 대회 부채를 연차적으로 갚을 예정이다.

시가 작성한 '경기장 건설비 지방채 발행 및 상환계획'에 따르면 내년부터 673억원을 상환하기 시작해 2020년 1573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점차 감소하다가 2029년에야 모든 원금을 상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15년 이상 매년 673억~1573억원에 달하는 빚을 갚아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대회 이후 경기장 유지보수와 관리비용 또한 만만치 않아 인천시가 느낄 재정 압박은 상상을 초월할 전망이다.

시는 아시아경기대회를 위해 지은 경기장을 관리하는데만 매년 수백억원 대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는 이번 대회에 신설한 서구 주경기장과 각 지역별 경기장, 다목적 체육관을 합해 총 16곳의 관리방안을 세워야 한다.

생활체육 운영, 문화·복지시설 확충, 수익시설 유치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뾰족한 수는 없다.
배국환 시 정무부시장은 지난 9월26일 "대회 이후 체육시설 어떻게 할 건가. 내년부터 500억원씩 들어간다"며 "수입은 100억원만 들어오면 다행"이라고 말한 바 있다.

결국 이같은 후폭풍은 고스란히 시민들의 피해로 나타날 전망이다.

배 부시장은 당장 빚 갚을 돈을 마련하고자 최근 버스 준공영제, 출산 장려금·사회단체 보조금 지급 축소 등을 염두에 두고 관련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의 재정압박이 결국 시민들의 삶의 질과 직접 맞닿아 있는 복지 사업 축소로 이어지는 형국이다.

인천시로서도 재정위기 지자체로 지정되지 않으려면 당장 초긴축 예산 운용이 불가피하다보니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아시아경기대회 때문에 생긴 부채의 여파로 인천시의 채무비율(39.5%)은 안전행정부가 지정하는 재정위기 지자체 기준(40.0%)에 육박하고 있다.

재정위기 지자체로 지정되면 지방채 발행과 주요 지역 사업 집행 때마다 중앙정부의 통제를 받게 되는 데 이는 인천시가 상상도 하고 싶지 않은 시나리오다.



▲무리한 유치 예고된 실패, 조직위는 천하태평

사실 인천아시아경기대회는 예고된 실패나 다름없다.

안상수 전 인천시장이 국가원수의 연설을 조작하는 세기의 거짓말까지 동원하고, 대회 효과를 부풀려 '업적 쌓기용'으로 유치한 것이 발단이 됐다.

안상수 전 시장은 지난 2007년 4월17일 유치 여부를 결정짓는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총회 최종 프레젠테이션에서 "평창이 유치되면 정부와 국민이 적극 지원하겠습니다"라고 말하는 당시 노무현 대통령의 동영상을 조작해 앞부분의 '평창이'를 빼고 영상을 상영함으로써 대회 유치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이미 그의 자선전을 통해 자랑(?)을 했다.

그는 당시 "아시아경기대회를 유치하면 약 20조원의 부가가치 효과와 27만명 정도의 고용유발 효가가 있다"고 호언장담했다.

아시아경기대회는 올림픽이나 월드컵 영향으로 스포츠팬들의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흥행 효과가 크게 떨어지는데도 대회 위상을 지나치게 과대평가한 것이다.

그후 7년, 인천시는 "아시아경기대회를 치르고 난 뒤 남은 건 빚 뿐"이라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결국 안 전 시장의 말은 모두 잘못됐음이 드러났다.

상황은 이렇게 첩첩산중이지만 대회를 직접 운영한 조직위는 천하태평이다.

조직위는 "대회 운영비에 들어간 4832억원은 정부 지원금 2007억원, 시 지원금 1282억원을 비롯해 스폰서십(470억원), 방송중계권(245억원), 티켓판매(265억원), 기타수입(290억원) 등으로 충당할 수 있다"며 "정확한 정산을 해봐야 하지만 운영비만 따지면 적자는 아닐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직위 관계자는 "국제대회는 수익 사업이 아니라 전체적인 적자는 어쩔 수 없다"라며 "경기장 관리와 부채 상환은 시가 책임져야 할 일이고 우리는 운영비에서 적자가 나지 않도록 대회를 치렀으면 됐다"고 말했다.

한편, 조직위는 내년 3월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청산총회와 법인 청산 절차를 거친 뒤 빠르면 4월 안에 활동을 정지하고 해산한다.

/이종만·박진영 기자 malema@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