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선은 초반부터 여야 후보들이 제 본래의 정책 제시는 커녕 다투어 선심성 공약을 내놓기에 바빴다.

여야 가릴 것 없이 선거운동 기간 동안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국민에게 설득력 있게 설명해 준 바가 없었다.

그 같은 과정을 거쳐 박근혜, 문재인 두 사람이 TV 토론에 참여했는데 몇몇 이슈를 제외하고는 양자의 정책적 차별성은 크게 두드러져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지방에서 행한 두 후보의 공약을 보면 세종시와 동남권 신공항에 대한 자신들의 기여도와 향후의 지원책을 공히 밝히고 있어 주목된다.

세종시 건설이 합당한 것인가는 전문가들 사이에 아직도 논란이 있고, 인천 발전에 상반되는 동남권 신공항은 현 정부가 종합적인 재검토 끝에 '경제성 없음'이라는 최종 판단을 내렸음에도 두 후보는 이를 지역 공약으로서 되살려냈던 것이다.

이는 항간에 떠도는 말 그대로 두 사람 중 누굴 뽑더라도 결국은 '영남권 정권'의 연장이라는 자괴감을 다시금 떠올리게 하는 것이다.

여야 모두 집권 기간 동안의 인사에서 탕평의 묘를 찾아볼 수 없었다는 지적과 함께 또 얼마나 많은 나랏돈을 '공약'이라는 권력의 늪에 쏟아 부을지 걱정이 앞서는 것이다.

지난 대선 때였다.

새얼문화재단 아침대화에서 이명박 후보에게 했던 '인천 출신 인재의 기용' 요구가 끝내 '말잔치'로 끝났던 사실을 상기하지 않을 수 없다.

그 후의 인사는 우리가 알다시피 '고소영'과 '회전문'으로 그 자리에서 맴돌았다.

그렇듯 정치권은 인천 지역을 외면해 왔다.

틈틈이 전가의 보도처럼 '수도권 정비법'을 내세우며 입막음을 하면서 온갖 공해 시설은 인천에 떠다 밀었다.

'균형 있는 국토 개발'이라는 깃발도 연실 높이 흔들어댔다.

그런 상황 속에서 인천은 바다의 기능을 잃은 이름뿐인 '항구도시'로 전락 중인 것이다.

인천의 입장에서 보면 개탄할 일이나 여야의 태도나 대선 후보들의 반응은 시민들이 만들어 온 자업자득적인 측면도 있다.

선거 때마다 유권자의 50여%가 아예 투표를 포기하고 있는데 정치인 누가 관심을 갖겠느냐는 것이다.

그러한 투표 포기 현상은 긍정적 의미에서의 '지역 권력 창출'에도 큰 저해 요인이 된다.

지역색이 강한 지역들처럼 특정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자는 게 아니다.

224만여명 유권자가 우리의 정치적 의사를 정치인에게 표명하여 우리가 지향하는 정책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야말로 대의민주주의의 요체가 아니냐는 고언이다.

그런 면에서 이번 대선부터라도 인천 시민들은 자신의 정치적 의사를 적극 표명해야 한다.

전국 최하위의 투표율로서는 지역의 개성적 목소리를 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우리 스스로도 '인천 시민'이라는 공동체의식을 일구어 낼 수 없으리라 믿는다.

우리는 함께 살고 있다.

이 땅 인천에서 함께 오늘을 생각하고, 함께 내일을 꿈꾸어야 한다.

그 꿈의 실현을 위해 일단은 20대를 비롯해 전세대(全世代)가 투표에 나서야 한다.

우리 앞에는 아시안 게임 개최, 지방 분권, 재정 적자 등 정치적으로 해결해야 할 현안이 한둘이 아니다.

/조우성 본보 주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