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념보다 민생 중시'캐스팅보트'역할
투표율 70% 기점·수도권 향배도 변수
   
 


향후 5년간 대한민국을 이끌어 갈 대통령을 뽑는 대선일이 밝았다. 선거운동기간 동안 새누리당 박근혜·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 후보 간 초박빙의 대결이 펼쳐지면서 선거일까지도 예측불허의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이 같은 치열한 경쟁에도 불구하고 대선 결과를 판가름할 수 있는 징후는 곳곳에서 보인다. 투표가 진행되는 동안 대선 결과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관전 포인트를 살펴봤다. /대선특별취재단


▲투표율 70% 기점 승패 결정될 듯 … 젊은 층 투표율도 관건.

이번 18대 대선 승패의 최대 변수는 투표율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투표율이 68% 이하일 경우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에, 70% 이상이라면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에 유리한 국면으로 흘러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투표율이 68~70% 구간이라면 예측이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보수층의 결집 등을 감안하면 투표율이 최소한 72%를 웃돌아야 민주당이 '투표율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민주당은 77%의 투표율을 목표치로 제시한 상태다.

앞서 중앙선관위의 지난 6~7일 1500명 대상 여론조사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고 밝힌 응답자는 79.9%였지만 전문가들은 70% 안팎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40대 표심 어디로 … 젊은 층 투표율도 관건.

이번 대선의 세대별 최대 승부처는 40대로 꼽히고 있다.

50대 이상은 박 후보, 20~30대는 문 후보 지지성향이 강하면서 극명하게 갈리는 가운데 사이에 끼인 40대 표심이 당락을 결정지을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40대는 이념보다는 민생과 직결 돼 있으며, 노무현·이명박 정부의 공과를 직접 체험한 만큼 전·현 정부 책임론이 불붙는 선거구도 속에서 어떤 선택을 내릴지 주목되고 있다. 특히 이들 40대는 전체 유권자의 22%를 차지하고 있는데다 여론조사에 잘 드러나지 않은 숨은 표가 많은 층으로 분류되고 있어 대선의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20~30대의 젊은층 투표율도 관심사로 작용하고 있다.

투표율이 낮으면 여당에, 높으면 야당에 유리하다는 것은 역대 선거에서 불문율로 여겨졌으며, 이 투표율의 높고 낮음은 젊은 층의 투표 참여 여부에서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젊은 층의 투표 여부가 이번 대선의 승패를 가를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최대 표밭 수도권과 충청·PK·호남 향배도 관건.

유권자의 절반 가까이 몰려있는 수도권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부동층이 10%를 웃돌며 다른 지역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수치상으로는 200만명의 유권자가 아직 투표할 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이들 부동층의 마음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가 대선 승패의 관건이다.

이번 대선처럼 양강구도가 형성된 지난 2002년 대선의 당락은 57만여표로 결정됐다. 특히 부동층의 상당수가 안철수 전 후보의 사퇴 이후 생겨난 것으로 분석되는 만큼 '안철수 효과'가 가장 주목되는 곳이 수도권이기도 하다.

역대 대선의 '캐스팅보트' 역할을 했던 충청권의 표심도 안갯속이다.

대부분 여론조사에서 박 후보가 문 후보에 대해 두자릿대 지지율 격차로 우세를 보이는 가운데 문 후보가 격차를 조금씩 줄이는 양상이다.

이외에도 새누리당의 전통적 강세 지역인 PK에서 문 후보의 40% 지지율 달성 여부와 함께 박 후보가 야당의 강세 지역인 호남에서 두 자릿수 득표율을 달성할지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양측 네거티브에 부동층은 어디로.

선거 막판 양 후보 측이 당력을 총동원해 맞붙은 국정원의 대선 개입 의혹과 '불법 댓글 사무실' 고발 등 네거티브 공방도 선거 결과 영향에 얼마나 미칠지 주목되고 있다.

네거티브 공방은 부동층이 후보를 정하는데 결정적인 작용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네거티브의 파장을 예측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역대 대선에서 있었던 '병풍(1997)', 'BBK(2007)' 등 네거티브의 경우 역풍과 순풍이 골고루 작용했기 때문에 이번 대선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