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대선 어젠다 집중점검

인천은 전쟁의 상처를 안고 사는 곳이다.

최근까지 연평도 포격과 백령도 인근 천암함 사태까지 남과 북은 '휴전'했지만 여전히 인천은 국지전의 한복판에 놓여 있다.

60년에 이르는 분단의 아픔을 안은 것도 모자라, 전쟁의 위협까지 밤낮으로 걱정해야 한다.

이에 인천은 지난 세월, 북한과 가장 빠르게 교류를 시작했다.

인천시장이 평양을 방문하는 이례적인 일도 치러냈고, 대규모 방북단을 구성한 곳 또한 인천이다.

인천의 대북사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경제는 물론 더 크게 평화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2005년 6·15 선언 5돌기념 행사가 열렸고, 2006년 아시아육상선수권 때는 북한 선수와 응원단이 인천의 하늘 아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천의 대북 사업은 2007년 후 끊겼다.

이번 정부의 5·24 조치로 가장 큰 타격을 본 곳, 바로 인천이다.

그간의 간헐적인 대북사업조차 중단됐고, 인천은 다시없는 전쟁의 위협에 노출됐다.

인천시가 여야 대선 후보에 요구한 12개 공약안 중 대북에 대한 내용만 두 가지다.

하나는 백령도 자유지역화 및 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 등을 통해 '서해평화 협력지대'를 구축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영종-강화-개성-해주를 잇는 평화경제 도로 건설이다.

'서해평화 협력지대'는 백령도를 제2의 제주도로 자유지역화 해 백령과 중국 영성간 항로를 개설하고, 각종 관광개발과 투자유치 등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를 통해 최전방 접경지역인 강화·옹진군의 수도권정비계획법상의 규제에서 제외하는 것과 '개성공단-해주경제특구'와 연계한 강화교동 평화산업단지 조성을 여야 대선 후보에 건의했다.

영종-강화-개성-해주를 잇는 평화경제 도로는 지난 대선부터 줄기차게 인천이 주장하는 것으로 112.5㎞를 건설하는 데 2조7788억원이 소요된다.

지난 대선 때 여야가 앞다퉈 대선 공약에 채택했지만 지금껏 한 발짝도 나가지 못했다.

남과 북의 '평화 무드'를 통해 가능한 사업인 만큼 인천 혼자서는 절대 안된다.

정부의 도움이 절대적이다.

시는 중국 단둥에 축구화공장을 건설해 북한 노동자를 고용한 것을 시작으로 아시안게임에 북한 참여를 호소하고 있지만 정부 입장은 아직 없다.

남북관계가 대선에 따라 들쑥날쑥 하는 사태는 더 이상 일어나면 안된다.

남북관계를 통해 외교·안보를 평화 무드로 바꾸면, 그에 따른 시너지 효과는 클 것으로 보인다.

인천 또한 격변의 남북관계를 넘어설 수 있는 대선이 되길 희망한다.

/이주영기자 leejy96@i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