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영우인천항만연수원교수부장


인천항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지역총생산액(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s, GRDP)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에도 인천항관련 물류산업과 제조산업이 인천지역의 생존과 발전에 중요한 아젠다임과 동시에 인천경제의 중요한 생명줄이라는 사실 또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명확한 사실이다. 그러나 인천항은 부산, 광양, 평택 등 타항과 비교해서 턱없이 홀대받고 있고 더욱이 항만과 관련된 해운항만물류와 제조관련 업계에서는 인천항의 불합리하고 어려운 상황에 대해 아무리 외쳐도 대답 없는 중앙정부의 메아리에 더 이상의 말을 잃어갈 정도인 것도 사실이다.

인천항은 정부의 부산과 광양 중심으로 집중 투자되는 투-포트(Two-Port) 정책운영과 1996년에는 부산, 광양, 평택항을 중심으로 한 3대 국책항에서 제외되어 정부재정지원이 저조하고 투자우선순위에서도 후순위로 밀리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항만배후부지 조성시 국비지원율의 비형평성으로(부산 50%, 광양·평택 100%, 인천 25% 국비지원)인한 배후부지 임대료 상승, 6000Teu급 이상 대형컨테이너선의 접안이 가능토록, 인천신항의 항로 수심을 14m에서 16m로 증심하는 문제, 평택항 등의 항만시설사용료 감면문제, 그리고 수도권 정비계획법에 따른 각종규제 등이 인천항을 발전시키지 못하게 하고 대외경쟁력을 상실하게 하는 핵심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인천항의 불합리한 항만여건으로 인해 인천지역 제조업분야의 신규투자가 제한되고, 새롭게 분양되고 있는 항만배후부지의 입주가 어려워, 인천항의 대형화주와 선사들이 인천항을 기피하고 제조업의 타 지역 이탈로 이어져 인천항의 직·간접적인 물류경쟁력 악화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특히 인천은 대중국, 대북한과의 교역의 전초기지로서, 수도권 관문항으로서, 인천공항과 연계된 한반도 물류의 중심지요 최적지로서,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갖는다고 수없이 강조해도 과하지 않다.
즉, 인천항은 수도권 2000만 인구를 배경으로 한 풍부한 경제적 기반, 항만과 공항, 배후산업단지와 개성공단 등 물류중심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잘 갖추고 있다.

인천항과 선박입출항과 관계되는 업종은 어림잡아 45종에 이르고 업종별로 많은 업체가 인천항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인천세관에 신고된 운송사업자가 800여곳, 통관업체가 135곳을 비롯하여 인천시에 등록된 국제운송주선업체가 약 160여곳에 이르고, 인천지방해양항만청에 등록된 물품공급업체가 48곳에 이르는 등 그 통계적 규모와 수치에 과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인천항과 관련된 필수 및 의존산업 중심의 항만관련산업의 발전도모가 결국 선사와 화주에 대한 서비스 질의 향상과 제반비용절감을 통하여 결국은 인천항의 경쟁력강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야 한다.

이제 새로운 대통령이 탄생되는 중요한 시점에서 인천항의 홀대정책이 형평성과 균형 있는 발전정책으로 새롭게 제시되어, 인천항의 발전이 결국 대한민국 경제동맥과 물류산업발전으로 이어져 인천지역뿐만 아니라, 이 나라 전체 경제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금번선거의 대선주자들이 앞장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