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임시정부가 11월17일을 순국선열의 날로 정한 지 올해로 72년이 됐다. 순국선열은 일제의 국권침탈 당시부터 1945년 8월14일까지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목숨을 잃은 의사·열사를 뜻한다. 지난 1895년부터 1945년까지 순국한 선열은 기록상으로 모두 9만 6천여 명이지만 알려지지 않는 열사까지 포함하면 30여만 명에 가깝다.

올해 순국선열의 날에 앞서 지난 여름 러시아와 만주지역의 항일독립 유적지를 다녀왔다. 고려인들은 연해주로 이주해 힘겹게 삶의 터전을 일궜지만 일본을 견제하던 스탈린 때문에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당했다. 이후 소련이 해체되면서 고려인들은 다시 연해주로 돌아와야 하는 아픔을 겪었다.
아직도 이들 고려인 40만 명은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공화국에 살고 있다. 하지만 독립운동가들의 후예들이 힘겹게 사는 모습에 가슴이 아렸다.

눈으로 직접 보고 이들을 만나니 청춘을 바쳐 나라를 위해 싸운 애국지사의 희생이 얼마나 거룩하고 위대한 일인지 다시 한번 느꼈다.
후손(학생)들에게 올바른 애국정신을 가르치겠다는 다짐을 세운 기회가 됐다. 순국선열이 있었기에 현재 우리가 있다. 이들은 우리민족의 뿌리이자 대동맥이다. 이들의 항일 정신은 평화를 지켜낸 우리 민족의 정신적 가치이자 보배다.

이런 역사를 과거로만 바라보는 것은 옳지않다. 우리 모두가 경건한 마음으로 순국선열의 넋을 추모하고 이들의 정신을 늘 기억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손성호(양지초등학교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