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처음으로 '1인8표제'로 치러지는 6월2일 선거에서 지역유권자들은 자치단체장,지방의원과 함께 교육감, 교육의원도 뽑아야 한다. 그렇지만 이들에 대한 관심은 자치단체장, 지방의원들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너무 낮다. 이들의 선출방식이 간선제에서 직선제로 바뀐 것은 무엇보다 우선 학부모들의 생각을 정책에 반영하자는 뜻에서였다. 그러하건만 이러다 혹여 후보의 정책과 자질을 제대로 살펴보지도 못한 채 선거가 치러질까 우려스럽기까지 하다.
교육감과 교육의원 선거가 관심권 밖으로 밀려나고 있는 데는 물론 까닭이 없지 않다. 먼저 주민을 위해서라지만 선출방식 변경이 잦았다. 정당의 공천대상이 아니어서 유난스럽기까지 한 정당조직의 홍보지원도 받지 못한다. 그렇다고 지금처럼 교육감과 교육의원 선거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면 유권자 스스로 교육주권을 포기하는 것이란 비판을 피하기 힘들다.
교육감과 교육의원은 그 역할 면에서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고 할 수도 있다. 교육감은 지역의 교육예산과 인사권, 교육정책의 결정·집행권을 갖는다. 중앙정부의 교육정책에 제동을 걸 수도 있다. 교육의원은 이를 심의, 의결하는 권한을 행사한다. 교육감과 교육의원으로 누가 뽑히느냐는 지역교육과 어린 아이들의 미래에 미칠 영향이 막대할 수밖에 없다.
지역현안 조사 때마다 유권자인 주민들이 꼽은 최우선 과제가 교육문제였다. 현재 교육감·교육의원 선거과정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학력신장, 무상급식, 교육 비리척결 등 수많은 쟁점들도 따지고 보면 모두 다 아이들의 교육과 관련된 사안들이다. 그런데도 유권자들의 관심이 낮다면 이게 더 이상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교육개혁은 계획수립보다 교육의 공급자, 소비자 모두의 실천이 더 중요하다. 유권자들이 교육감과 교육의원 선거에 눈을 돌려야 하는 이유이다. 교육감과 교육의원 선거를 두고 벌써부터 '묻지마 투표', '로또선거'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도 유권자의 무관심을 애둘러 탓하는 말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