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지 한달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되고 있는 상황은 당국의 방역체계가 얼마나 허술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강화군에 따르면 지난 8일 강화읍 국화리의 한 농가에서 사육 중인 25마리의 소 가운데 2마리가 식욕 부진과 침을 흘리는 구제역으로 의심되는 증상을 나타내 신고했다고 한다.

지난달 8일 강화군 선원면 가축농가에서 첫 발생한 구제역은 철저히 차단 방역을 했다고 하지만 경기 김포. 충북 충주. 충남 청양 등지로 확산돼 피해 농가가 속출하면서 방역 당국을 긴장시켜 왔다. 지금까지 강화군에서만 우제류 가축의 46%에 달하는 227개 농가에서 3만1천277마리를 살처분했다.

방역 당국은 추가 발생을 우려해 이동통제소를 비롯 강화군 전 지역에 대한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지만 또 어떻게 확산될지 예측하기 어렵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전파력이 빠르고 14주까지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구제역은 악성 가축 질병으로 발생지역에 막심한 경제적 피해를 안겨준다. 피해 농가에 대해 살처분 보상금과 생계 안정자금을 지원한다하지만 피해 농가가 다시 회생하기는 무척 힘들다. 더욱이 구제역이 장기화되면 지역경제뿐만아니라 국가적으로 이미지 추락은 물론 연관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나쁘다.

가축 질병은 베트남 등 동남아와 몽고 중국 등 지역에서 많이 발생한다. 대부분 이들 지역의 방역체계가 허술해 이 지역을 여행한 관광객들의 의복이나 신발 등에 묻어 유입되는 경우가 많다. 가축 질병이 많이 발생하는 나라의 여행은 가급적 자제해야 옳다. 강화에서 발생한 구제역도 초등 대응에 소홀한 탓이다. 구제역 바이러스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방역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가축 질병의 유입을 막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기본적인 방역체계가 강화돼야 한다.

축산업의 체질을 강화하기 위해선 정부의 확고한 국민 방역체계 확립이 우선이다 정부뿐만 아니라 축산 농가의 방역 의지와 노력이 더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