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부터 '시외→인천' 차량통행도 증가
인천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면 '상전벽해'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요동치는 대한제국의 소용돌이 속에 타의로 문을 연 인천, 지금도 밖에서 인천을 향해 끊임없이 밀려오고 있다. 인구, 예산, 땅값, 주택 등은 타 지역보다 성장 속도가 무섭다. 대한민국 3대 도시 인천, 이제 세계 속의 3대 도시를 향해 나아가는 인천의 어제와 오늘을 알아본다.


▲4만명에서 276만명
1921년 인천의 중심부 중구 내동. 일제 강점기의 엄혹한 시절에 시민들의 표정은 어둡지만 가슴 속에는 뜨거운 '해방'의 부르짖음이 자리 잡고 있다. 저 멀리 인천부청(현 중구청)이 보이고 자유공원에는 대불호텔 등이 빼어난 외관을 자랑했다. 당시 인구는 3만9천999명, 인천의 대표 도심인 중구와 동구에는 발디딜 틈 없이 시민들로 빼곡했다. 인천은 일제 수탈의 현장이자 살아남기 위해 하와이 등으로 떠나는 '항구'도시였다.
2010년 5월6일. 인천의 중심지는 여러 곳으로 분산됐다. 인구는 특·광역시 중 세 번째인 276만명, 인천의 10개 군·구에 고르게 살고 있다.
인천의 인구는 1921년 3만9천999명에서 1941년에 19만3천명으로 20년간 5배가 늘었다. 1921~1941년 사이 전국의 인구 증가율이 22%이었지만 인천의 증가율은 무려 202%를 기록했다. 서울의 인구 증가율(167%)도 인천을 따라잡지 못했다.
돈을 벌기 위해 고향을 떠나 도심으로 향하는 '이촌향도'가 인천에 뚜렷하게 나타났다. 인천항을 중심으로 경·중공업이 활개를 띄며 인천은 활력이 넘쳐났다.
해방 이후에도 인천의 인구는 꾸준히 늘었다. 1947년 24만명, 1949년 26만명, 1951년 29만명에서 한국전쟁으로 26만명으로 다소 감소했지만 전후복구에 속도가 붙으며 다시 인구가 증가했다. 1967년 드디어 50만명을 돌파했고, 1978년 100만 인천 시민이란 수식어가 붙었다.
인천은 1981년 직할시로 승격됐고, 1987년 150만명을 기록했다. 1960년대 중·동구에 편중됐던 인구는 공업단지 배후 주거지인 주안, 부평 등으로 삶의 터전이 옮겨 갔다.
1970년 중구 인구는 9만384명에서 20년 후 8만1천603명으로 줄었다. 하지만 남구는 1970년 22만8천895명에서 1990년 45만8천334명으로 집계됐다.
1989년 인천의 행정 구역이 조정됐다. 경기도의 영종면과 용유면, 계양면이 인천의 새식구가 됐다. 1992년 드디어 인구 수가 200만명에 이르렀다.
옹진군, 강화군을 편입해 광역시로 바뀐 1995년 인천은 236만명에 달했고, 1999년 연수, 계산 등의 택지개발이 끝남에 따라 250만명의 거대도시로 성장했다.
인천의 인구증가를 시기별로 살펴보면 1970~1975년 23.8%로 울산, 부산, 서울에 이어 네 번째로 인구 증가가 많았고, 1975~1980년 35.5%로 울산에 이어 2위, 1985~1990년 31.1%로 1위, 2005~2008년 4.1%로 1위를 달성했다.
지난해 9월 현재 인천의 인구는 275만992명으로 남성 139만463명, 여성 136만529명이다. 이 중 외국인은 4만7천667명이다. 세대당 인구는 2.69명으로 핵가족화가 심각하고 65세 이상 고령자는 지난 2002년 15만2천835명에서 현재 22만명으로 '고령화'사회로 진입했다.
인천의 주택보급률은 1960년 68.0%에서 1970년 57.9%, 1980년 54.3%로 상당히 낮았다. 1980년 정부의 주택건설 200만호 정책에 힘입어 인천에 12만호의 주택 건설 계획이 세워졌다. 1990년 주택보급률은 74.6%로 개선됐다. 1995년 86%로 꾸준히 증가했고, 2001년 100%를 넘어섰다.
주택별로 살펴보면 2008년 단독주택은 11만853호(14.2%)이고, 아파트 44만7천951호(57.5%), 연립주택 2만1천320호(2.7%), 다세대주택 18만9천978호(24.4%)이다.


▲1천655대에서 82만2천317대
인구 증가는 지역의 경제 상황을 대변한다. 이에 맞춰 차량도 늘었다.
인천의 자동차 대수는 1955~1959년까지 1천300~1천400여대가 운행했다. 경제개발계획이 시작된 1965년 인천의 차랑대수는 1천655대에 불과했다. 1969년 불과 4년만에 차량대수가 4천294대까지 늘었다. 당시는 자가용보다 영업용차량이 많았다. 관용차 73대, 자가용 452대, 영업용 3천769대이다.
1970년대에 들어서며 급격한 인구 증가와 자동차 보급률 증가로 '교통난'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자가용은 1970년 759대에서 1979년 9천681대로 12.8배로 껑충 뛰었다.
1970년대 도로개설연장은 190㎞에서 630㎞까지 확장됐다. 자동차의 증가속도에 도로 포장도 속도를 냈다.
1990년대 본격적인 '모터라이제이션' 시대를 맞으며 교통문제가 일부 도시만의 문제에서 광역교통문제가 됐다. 전국의 차량대수는 1994년 700만대에서 1997년 1천만대를 돌파했다.
우리나라 7대 주요 도시의 교통혼잡비용은 교통 수요와 공급이 동반 상승하며 천문학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2005년 인천시의 도로교통혼잡비용은 서울 6천19억원, 부산 3천480억원에 이어 1천747억원으로 추정됐다.
1973년 승용차와 버스를 이용한 총 여객통행량은 1일 65만2천52통행으로 이중 버스 분담율이 89%로 대부분 시민은 버스를 이용했다.
1976년 1일 총 여객통행량이 100만 통행을 넘어섰지만 버스 분담율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1973년 여객통행량 중 승용차 7만1천726통행, 버스 58만326통행에서 1981년 총여객통행량은 169만9천500통행이며 승용차 31만4천408통행(18.5%), 버스 138만5천92통행(81.5%)이다.


▲180㎞에서 2천370㎞
인천은 조선시가지 계획령에 따라 1937년 '인천시가지계획구역결정이유서'가 세워져 최초로 도로가로망계획이 수립됐다. 1969년 인천항~영등포간을 잇는 경인고속도로가 개통됐다. 총연장 28.92㎞, 폭 4차선 전구간으로 뚫렸다.
1970년대 급격한 인구 팽창과 자동차 보급률 증가로 도심지를 잇는 간선도로 신설·확장과 가로확장 정비사업들이 동시다발로 이뤄졌다.
1970년 지방도 23.4%(포장도로 4.49㎞, 총연장 19.197㎞), 시도 52.9%(포장도로 90.449㎞, 총연장 170.905㎞)에 불과하던 도로포장율은 1979년 지방도 20.1%(19.999㎞, 총연장 95.3㎞), 시도 50.41%(270.05㎞, 총연장 535.46㎞)로 늘었다.
1989년 인천의 도로 총연장은 직할시도 885.2㎞와 국도 62㎞를 합해 947㎞이며 도로율은 14.1%에 머물렀다. 2006년 현재 인천의 도로연장은 2천370㎞이다.
인천의 통행 특징은 1996년 인천에서 시외로 빠져나가는 통행량이 많았지만 2006년들어 시외에서 인천으로 들어오는 역전현상이 발생했다. 또 1일 인천 관련 통행량 중 광역통행(시외↔인천)량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1990년대 인천의 교통사고건수는 인구 1만명당 건수가 2000년대보다 매우 높다. 당시는 차량증가가 본격화된 시기로 교통안전문화가 제대로 정착되기 전이었다.
1991년 사고발생건수는 1만2천30건, 1만명당 사고건수는 61.25건이다. 반면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년간 인구 1만명 당 교통사고 건수는 인천 평균 44.68명을 기록했다.
자동차 1만 대당 교통사고건수는 1991년 615.68건에서 1996년 292.43건까지 53%까지 감소했다. 또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최근 5년간 인천지역 자동차 1만 대당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131.69건이다.
도로 1㎞당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1991년 12.166건, 1996년 9.524건으로 줄었고,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최근 5년간 인천의 도로 1㎞당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5.17건으로 내려갔다.
/글=이주영기자·사진=박영권기자 blog.itimes.co.kr/leejy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