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광범위… 표준운송원가 정립 어려움
서울, 인천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버스준공영제를 경기도에 도입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도에 따르면 도는 막대한 재원 부담에 따라 버스준공영제를 도입하는 대신 버스서비스 개선으로 도민들의 편의를 높이기로 했다.
도는 재정여건상 버스준공영제는 중장기 과제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시내버스 업체의 규모와 경영여건이 다르고 지역별 운행여건 차이로 표준운송원가 정립에 어려움이 있다는 설명이다.
또 서울이나 인천시 등과는 달리 지역도 광범위하고 농촌과 도시과 뒤섞여 있어 운행 여건이 다르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도 전체에서 버스 준공영제를 실시할 때 매년 5천500~6천억원의 재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근 서울시는 지난해 7천598대의 버스에 2천900억원에 이어 올해는 3천500억 정도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의 기준을 적용, 도의 운송수지 산출시 수입은 1조681억원, 비용은 1조6천371억원이 각각 예상된다. 결국 차액비용인 5천690억원을 도가 재정지원을 해야만 하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도는 쉽게 버스준공영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3~2006년 성남과 김포시를 대상으로 한 준공영제 시행을 위한 시범연구에서도 재정부담이 논란이 됐다.
성남시는 시의 인허가 면허 노선이 전체 운행노선의 25%로 실익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포시도 막대한 재정 부담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결론이 났다.
결국 도는 준공영제 도입 대신 우선적으로 버스서비스 개선이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수도권통합요금제 시행으로 환승부담이 없어진만큼 이용수요에 맞는 노선을 늘려가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는 올해 도내 굴곡노선 24곳을 개편하고 외곽순환도로 노선 6개를 신설한다. 교통소외 군지역을 대상으로 20개 노선에 맞춤버스도 운행한다.
도 관계자는 "소요재원 과다 등으로 버스준공영제는 중장기적 검토 과제로 검토하고 있다"며 "대신 도민들이 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개선에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옥희기자 (블로그)ock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