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실크로드의 악마들
투르판시 화염산에 인근에 위치한 베제크닉 천불동 석굴도 돈황 막고굴과 함께 약탈이 심했던 곳이다. 이 곳도 무슬림에 의한 훼손과 제국주의에 의한 약탈에 고스란히 노출돼 있었다.

돈황 막고굴은 3세기부터 건립돼 1천여년동안 계속됐다.

1천여개가 넘는 석굴과 1천여개에 이르는 승려들의 숙소 등 한창때에는 2천개가 넘는 석굴이 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이스람이 이 지역에 들어오면서 일부 무슬림에 의해 불교 유적지가 훼손되지 시작했다. 막고굴 뿐만 아니다. 신장 지역에 분포한 유명한 불교 석굴들 대부분이 훼손과 약탈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막고굴 17호기에서 나온 일명 장경동 문물은 대부분 제국주의 국가에게 약탈당하는 비운을 맞게 된다.

이 곳은 문서는 3세기에서 11세기에 걸쳐 만들어진 관청, 사원, 사가의 고사본 및 각본 등이다.
 

이슬람 교도들의 벽화 파괴의 모습으로 벽화를 긁고, 심지어 부처상의 눈알을 파내 버렸다. 독일, 일본 등 당
시 제국국가 탐험대들은 문서 약탈도 모자라 벽화를 잔인하게 뜯어갔다

대부분 불교, 도교, 마니교, 경교(고대 기독교의 한 종파)의 문헌과 유가의 전적, 문학자료, 정치·군사자료, 사회·경제 자료, 역사·지리 자료, 천문, 인쇄술, 의학 등의 과학기술 자료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장경동의 발견은 중국문화사의 20세기 인류문화사에서 중대한 발견이라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곧바로 외국에게 약탈당하는 운명을 맞게 된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 소문은 당시 실크로드를 탐험하던 외국 학자들의 귀에까지 들어갔다. 고문서를 손에 넣기 위해 영국의 스타인, 프랑스의 펠리오 등이 첫번째, 두번째로 이 곳을 다녀갔고 이들이 압도적으로 많은 자료를 손에 넣게 되었다.

사막속의 문서, 천고의 비밀을 고스란히 간직한 이 사료는 사막이라는 특수한 환경과 더불어 모험심에 불타는 인간들을 유혹하기에 충분했다. 당시의 부패한 청 조정은 외세에 침범당해 아무런 힘도 쓰지 못했다.

일본의 오타니 탐험대도 약간 늦기는 했지만 얼마간의 고문서를 구했다. 소련과 미국 등도 문서와 예술, 심지어 벽화까지 탁본해 갔다.

현재 중국에는 몇천점의 불완전한 문서만 보관돼 있을 뿐, 9백년 간 잠자던 문화유산은 발견됨과 동시에 거의 다 해외로 흩어져 버린 것이다.

만행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돈황 막고굴 이외에도 신장 곳곳에 위치한 커즈얼 석굴, 베제크릭 석굴 등에서는 석굴 내에 불상은 물론 벽화 등을 통째로 뜯어가기도 했다.

일본 오타니 탐험대가 신장 일대에서 약탈한 문물 중 일부는 당시 조선총독부에 보관됐다가 해방 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으로 분류돼 지금까지 한국 땅에 남아 있다.

1924년 미국 하버드대학 조사대 랜던워너는 막고굴에서 벽화 20여 장을 뜯어내고, 제328호굴의 공양보살상 등 불상을 불법으로 약탈해가지도 했다. 이들 나라에서 약탈해간 문화재를 아직까지 중국에 반환했다는 소식은 지금까지 들리지 않는다.

돈황 막고굴 학술연구원인 푸카이준씨는 당시 제국주의 약탈사에 대해 상당히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각각 석굴의 역사를 설명하면서 훼손되거나 약탈당한 문물을 볼때마다 "도둑놈들"이라는 말을 연발하기도 했다.

이 연구원은 "상당수 문서와 벽화 등 문화재가 약탈당했지만 정확한 피해규모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며 "물론 일본에서 약탈한 문화재가 한국의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으 ㄷ며 공식적인 반환을 요구할 방침"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당시 각국의 약탈 내용은 피터 홉커크가 지은 '실크로드의 악마들'이란 책에 그 전말이 상세히 기록돼 있다.
 
/남창섭기자 (블로그)csnam
 
 

돈황석굴 130호기의 높이 26m의 남대불.
당나라 시대에 만들어진 대부분 부처상
들은 이전 상과는 달리 여성스러운 얼굴과
몸매를 보이고 있다. 이는 당나라 여황제인
측천무후가 자신의모습을 형상화해 부처상
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왕오천축국전

왕오천축국전은 신라의 승려 혜초(704~780)가 서기 720년대에 인도 전 지역의 불적을 순례하면서 각 지방의 풍토와 산물을 살펴 기술한 글이다. 바로 왕이 사는 다섯군데 천축국을 돌아다니며 느낀 것을 서술한 일종의 기행기다. 중국 돈황을 거쳐 주로 인도 북부지방을 여행했으며 지금의 파키스탄과 아프칸니스탄, 이란의 쉬라즈까지 다녀왔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돈황에서 발견된 이 사본은 비록 혜초 자신이 8세기에 직접 친필로 쓴 것이 아니라 9세기경 누군가에 의해 베껴진 것이며, 원본 3권 전체가 아니고 두루마리 모양의 첫머리와 끄트러미도 떨어져 나가고 없는 잔본이기는 하지만, 8세기 전반의 인도 불교 및 중앙아시아의 풍속과 지리, 역사 등을 알려주는 서역사 연구에 있어 귀중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는 책이다. 책의 기술이 상세하기 때문에 법현의 불국기와 현장의 대당서역기 등과 상호 보충이 되어 학술 가치도 대단히 높으며, 또 중서교통사 및 중앙아시아사 연구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무엇보다 고대 신라인의 기록으로서, 우리의 고전으로 남아 있는 최고의 보물이라는 데에 커다란 의미가 있다.

 
돈황의 비극, 그리고 동황학의 시작

1천년 가까이 석실에서 잠자고 있던 돈황의 찬란했던 문화가 우리의 눈앞에 나타났다. 이는 20세기 갑골문의 발견과 더불어 중국 학술사상 커다른 의의를 갖게 한 사건이었다. 1900년 16호굴 안에 또 하나의 석실인 17호굴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그 속에는 실크로드에 관한 막대한 자료가 차곡차곡 쌓여 있었다.
 
 그로부터 7년 후에 영국탐험가 스타인이, 이듬해에는 프랑스인 학자 펠리오가 나머지 유물을 싣고 파리로 돌아갔다.
 
 그 다음으로 일본인 오타니가, 그 다음에는 러시아인 올젠부르그가, 그 다음으로는 미국인 워너가 이곳을 다녀갔다. 세계 각국으로 흩어지게 된 것이 오히려 돈황학이 세계적인 학문으로 성립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유물을 소유한 나라에서 돈황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돈황 변문과 불경, 불화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어느 누구라도 영국의 대영도서관과 프랑스국립박물관에 소장된 돈황유서를 열람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돈황 유물은 일본과 미국, 러시아 등 세계 각국에 산재해 있어 자연스럽게 세계적인 학문으로 발전하였다. 낙준 법사에 의해 서기 366년에 창건된 막고굴 감실 속의 불상과 벽화는 보수되어 지금까지 그 예술적 가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 학자들이 몰려와 연구를 거듭하여 새로운 연구 성과를 속속 내놓고 있다.

실존하는 불교미술문화 자료의 현장인 492개의 굴과 이른바 장경동이라고 불리는 제17호굴에서 나온 대량의 경전과 돈황유서는 아직도 연구되어야 할 무궁무진한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