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13일 출범한 인천영상위원회의 활약이 좀처럼 드러나지 않고 있다. 부산이나 서울지역에선 “우리 시가 지난 달에 어떤 영화를 유치했고, 현재 이런 영화가 촬영중” 이라며 실적과 홍보에 열을 올리는 반면, 인천은 출범 이후 내내 과묵한 모습을 보여왔다. 왜 그럴까. 출발 자체가 다른 지역 영상위원회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위원회는 로케이션 촬영 유치와 지원을 위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영화제작사에 최대한 협조를 약속으로 영화를 끌어들이는 것이다. 이는 물론, 촬영지를 관광명소로 만들어 경제적 부가가치를 높이고 나아가 지역 이미지를 높이기 위함이다. 촬영 기간, 지역에서는 제작팀이 쓰는 인력과 비용에 따른 고용창출과 단기적 경제효과도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천영상위원회는 그러나 이런 서비스기구가 아니고 문화산업과 영상산업에 관련한 주요 시책을 ‘심의’하는 기구로 출발했다. 문화·영상 산업에 관련한 각종 시책에 민간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수준이므로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엄격히 말하면 인천은 영상위원회가 아닌 문화예술진흥위원회 제2분과위원회 형태인 ‘영상분과위원회’이다. 이에 따라 인천영상위원회의 기능을 취지에 맞는 조직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려면 역시 가장 중요한 과제는 독립적 사무국 설치와 예산 확보다.
 이와 함께 실행조직을 갖춘 독립된 조직으로의 전환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즉 임의단체나 사단법인, 재단법인으로 설립하는 방안이나 인천문화재단 내 독립기구로 설립하는 방안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
 아울러 조례 제·개정의 필요성도 나오고 있다.‘인천영상위원회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인천영상위원회 지원 조례’, ‘영상물 촬영 지원에 관한 조례’, ‘인천시 영상 진흥 조례’ 등을 만들어 영상위 활동을 보장하고 이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지원하자는 것이다.
 조직의 기능과 역할에 적합한 모습을 갖추고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면 인천의 다양한 촬영지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작업 등 업무의 세분화에 신경을 써야 한다.
 로케이션 종류별 촬영 메뉴얼을 제작해 영화 제작사에 제공하고, 관련 기관과의 조직적인 네트워크 구축도 필요하다.
 그것만 있는 게 아니다. 로케이션 촬영에 따른 세제 혜택과 인센티브 제도 도입, 한국영상위원회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다른 지역영상위원회 나아가 세계 각국의 영상위원회와의 협력체계 구축 등등 인천영상위원회의 갈 길은 멀고도 멀다.
 21세기는 ‘삶의 중심축이 문화’이고, ‘문화의 중심축은 영화’라고 한다. 질풍노도처럼 질주하는 ‘괴물’의 흥행기록이나, 앞서 한국영화의 신화를 기록한 ‘왕의 남자’가 이를 증명한다. 괴물을 통해 세계인들은 ‘Han River’(한강)을 찾을 것이고, 왕의 남자를 통해 한국전통의 모습을 인식할 것이다.
 뒤늦게 시작했지만, 조금만 더 신경을 쓴다면 영상인프라의 95%를 갖고 있는 서울과의 근접성, 신·구 도심의 혼재, 항만과 바다, 생태공원 등 로케이션 촬영인프라가 그 어느 지역보다 풍부한 인천이 가장 앞서갈 수 있다. 
 지금 인천문화재단 안에서 기구의 독립과 안정적 재원확보를 위한 논의가 활발이 이뤄지고 있는 점은 퍽 다행한 일이다. /김진국기자 (블로그)freebi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