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우리나라의 왕과 신하들은 역경의 대가였다. 관리를 등용하는 시험이 주로 그날 주어진 제목을 가지고 시를 지었다. 역경에서 말하려고 하는 우주 만물의 보편적 법칙인 도(道)를 그 시에 얼마나 잘 적용시키고, 잘 표현하고 있는가를 채점하여 관리로 등용시켰다. 그렇게 해서 뽑힌 관리들 중에 교육을 담당하는 우수한 사람들은 아이들에게 교육적인 놀이를 만들어서 우주 변화의 이치를 자연스럽게 교육시키곤 했다.
우선 아기가 머리를 자기 목의 힘으로 들고 있을 때쯤 되어 ‘도리도리’라고 어르면 아기는 머리를 좌우로 회전시킨다. 말을 아직 하지 못하지만 자기가 ‘도리도리’라는 말에 반응하는 것을 어른들이 좋아한다는 것을 안다. ‘도리’는 도의 이치(道理), 혹은 도가 나온다(道來)는 뜻이다.
황제내경에 우주는 둥글고 머리는 우주를 본떠서 둥글다는 구절이 있다. 머리가 곧 우주라는 뜻인데, 머리를 돌리는 것과 ‘도가 나온다’는 것이 일치함을 가르치고 있다. 도리도리 놀이의 목적은 근육을 제어할 수 있는 두뇌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함이겠으나 거기에 철학적 의미까지 부여하여 그런 이름을 붙여준 것이다.
도리도리를 할줄 알면 다음은 ‘짝짜꿍 짝자꿍’을 시킨다. 짝짜꿍은 손바닥을 마주치는 동작이다. 짝짜꿍 짝짜꿍이라는 말을 반복하면 아기는 손뼉을 치며 좋아한다. 짝짜꿍은 ‘짝을 맞추어 쿵하는 소리를 낸다’라는 뜻이다. 음양의 화합을 뜻한다. 목보다 더 분화되었으나 손가락보다는 덜 섬세한 팔의 근육을 움직이는 행동을 통해 뇌의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동작이다.
아기가 두 가지의 동작을 배우면 ‘도리도리’와 ‘짝짜꿍’을 구분할줄 알게 된다. 둘을 구분할 줄 안다는 것은 음양을 분별할 줄 알게 됨을 의미하며, 뇌의 판단 기능도 발달된다. 짝짜꿍을 할 줄 알면 ‘곤지곤지’를 시킨다. 곤지곤지는 왼손 손바닥을 펴서 오른손의 검지를 펴서 왼손바닥에 반복해서 닿게 하는 동작이다. 곤지는 두개의 한자로 이루어진 말인데 곤(坤)은 주역의 8괘 중 땅을 뜻하는 곤괘를 말하고 지(地)는 땅이란 뜻이다. 곤지 중에 지(至)는 ‘도달한다’ 라는 뜻도 있어 ‘곤지’란 ‘땅에 이룬다’ 하늘의 도가 땅에 이룬다는 뜻으로, 이렇듯 아기의 놀이조차도 역경을 이용한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부유한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