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4월15일 발생한 ‘제암리 사건’은 발안 장날시위 등 수원 화성지역 주민들의 3.1 독립만세운동에 대한 보복응징으로 일제가 자행한 만행의 결정판이었다.
수원 화성 일대의 시위가 폭동 수준으로 격렬하게 진행되자 경기도 경무부에서는 헌병과 보병, 순사로 이루어진 검거반을 이들 지역에 파견했다.
검거반은 1919년 4월 2∼6일, 9∼16일 2차례에 걸쳐 이들 지역을 돌며 시위의 진원지 역할을 한 마을들을 습격 방화하고, 대대적인 수색을 벌여 시위 주모자들을 검거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암리사건의 전주곡이라 할 수촌리사건이 일어났다.
수촌리사건은 4월 2일 장안면과 우정면 주민들이 합세해 벌인 격렬한 독립 만세 시위가 도화선이 됐다.
4월3일 오전 장안면 수촌리와 석포리 주민들은 독립만세를 부르며 면사무소로 몰려가 건물을 파괴했다. 그리고 우정면 주곡리 일대의 시위대와 쌍봉산에서 합류해 집회를 가진 뒤 우정면사무소를 파괴하고 화수리 주재소를 습격했다.
2천여명으로 불어난 군중들은 총을 쏘며 맞서는 일본인 순사를 처단한 뒤 주재소 건물을 방화하였다.
면사무소가 파괴된 것은 물론 주재소가 불에 타고 일본인 순사까지 살해 당하자, 일본군 검거반은 수촌리를 그 진원지로 파악하고, 그 곳의 천도교 남양교구 순회전교사 백낙열과 감리교 전도사 김교철 등을 체포하기 위해 4월5일 새벽 3시 반 경에 수촌리를 급습했다.
이 과정에서 검거반은 천도교 전교실과 감리교 예배당은 물론 민가에도 불을 질러 마을 전체 42호 가운데 38호가 소실됐다.
검거반은 4월11일에도 수촌리를 비롯한 장안면, 우정면내 25개 마을을 포위하고, 204명의 시위 주모자들을 검거했다.
이렇게 두 차례에 걸친 일본군의 검거 작전은 이 지역의 격렬한 만세시위에 대한 보복응징의 성격이 짙었으며, 4월15일 제암리사건은 바로 그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정리=홍성수기자 (블로그)ss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