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화장 납골제의 보급을 확대하기로 방침을 정하자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지방자치단체들이 주민 휴식공간형 납골시설에 경쟁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오랜 세월 매장문화에 익숙하던 우리 장묘제도에서 이같이 납골시설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은 안양시가 지난해 11월부터 화장 공동 유언장 서명운동을 벌여 신중대 부시장을 비롯한 직원 1천1백명과 시민 600명의 동참을 이끌어내는 등 국민들의 의식이 우리의 매장문화가 이제는 국토잠식 등 여러가지 문제의 해결을 위해 화장제도로 전환돼야할 시점이라는데 공감하면서 비롯되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해부터 기존 집단묘지를 재개발하고 납골묘의 확대를 추진중이다. 서울시의 경우 지난 3월 화장에 대한 시민의식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납골시설과 시민편의시설을 함께 갖춘 선진국형 「숭조공원」을 내년부터 시내 25개 자치구에 설립할 계획이다.

 화장률이 99%에 이르는 일본은 이러한 묘원 인근 주택값이 다른 지역보다 비싼곳도 있다. 광주광역시는 지난 3월13일 북구 효령동 제2시립공원묘지 약 7천5백평에 1천기 규모의 한국형 가족납골묘를 설치하고 9월부터 일반에 보급할 예정이다. 또 최근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 부친 유골도난 사건, 지난해 여름 폭우로 인한 다량의 묘지 유실, 고 최종현 SK그룹 회장과 LG 구본무 회장의 화장유언 등에 따라 매장 위주의 우리 정서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시민ㆍ사회단체들도 우리의 장묘문화가 근본적으로 개혁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 98년 9월 출범한 한국장묘문화개혁 범국민협의회는 사회 지도층 인사부터 화장을 유언하는 운동을 펴 고건 서울시장, 김상하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등 200여명으로부터 서명을 받아 냈다. 보건복지부도 같은 기간에 화장 서약운동을 벌여 김모임 장관 등 직원 1천2백명으로부터 서약서를 받았다. 이밖에 생명나눔실천회는 지난해 10월부터 화장 유언서명운동을 벌여 2천명을 확보했다.

 97년 현재 우리나라의 화장률은 약 23%. 일본(97%), 스위스(67%), 영국(60%), 대만(47.3%)과 비교할 때 매우 낮은게 현실이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말 펴낸 「보건백서」에 따르면 매년 20만여기(여의도 1.5배 면적)의 새로운 분묘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처럼 매장위주의 장묘문화가 계속된다면 수도권은 5년 이내, 전국적으로는 16년 이내에 집단묘지 공급이 한계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상봉기자〉

sbhan@incho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