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대 총선이 1년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선거관리 주무부서인 선관위도 21세기 새로운 선거풍토 조성과 선거문화 정착을 위한 의지를 가다듬으며 총선준비에 착수했다.

 하지만 선관위의 본격적인 총선 준비는 현재 정치권에서 논의중인 선거구제 개편 등 정치개혁 문제가 마무리된 뒤에나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중앙선관위 박기수 선거관리실장은 15일 『선거관리 사무의 중심은 선거구 문제인 만큼 여야의 선거법 개정협상이 우선 마무리 돼야 한다』면서 『정치권의 정치개혁 작업이 부진한 상태에서 본격적인 선거준비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그러나 새 밀레니엄 초입에 치러지는 16대 총선을 계기로 새로운 선거문화를 정착시킨다는 차원에서 향후 1년동안의 총선 준비기간중 홍보활동에 최대 역점을 두는 한편, 사전선거운동 단속에 선관위의 모든 역량을 집중한다는 자세다.

 이에 따라 선관위는 각종 민방위ㆍ예비군 교육과 각 기업체에 대한 순회교육을 강화, 선거참여 및 공명선거 분위기 정착을 위한 「대국민교육」에 치중하고, 16개 시ㆍ도 선관위 및 244개 지역선관위를 풀 가동, 사전선거운동 단속에 착수할 예정이다.

 특히 선관위는 선거구 문제 등 정치개혁 입법작업의 지연에 따른 선거관리 사무의 어려움에도 불구, 이미 갑ㆍ을구 등으로 분할된 지역선관위를 행정구역 단위별로 통합한 만큼 선거구제 획정문제가 다소 지연되더라도 기본적인 선거관리 사무에는 큰 지장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선관위는 우선 ▲투ㆍ개표 관리 ▲사무개선 방안 ▲직원교육 ▲위법선거운동 행위 단속 지침 등 선거구제 문제와 직접적 연관이 없는 「일반사무」에 치중한다는 계획이다.

 선관위는 이어 올 하반기부터 선관위 조직을 「선거준비단」 체제로 전환, 선거일반 사무에 대한 중점교육에 착수한 뒤 올 정기국회 등을 기점으로 선거법 개정작업이 완료되는 즉시 「선거관리단」 체제로 돌입, 본격적인 선거관리 교육에 착수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선관위는 그러면서도 선거법 개정작업이 늦어져 전반적인 선거관리 준비에 차질을 빚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박실장은 『선거구제 문제가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 선거관련 인력의 운용방안과 인력배정 문제가 연동되기 때문에 선관위로서는 선거법 개정작업이 조속히 마무리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