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위기의 수도권 광역교통기구
 인천 경기 서울 등 3개 시도로 구성된 수도권은 전국 인구의 절반이 몰려 사는 한국의 핵심지역이라고 해도 결코 과언이 아니다. 이들 수도권 주민이 교통, 교육 등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에 대해 서로 비슷한 생각들을 하는 것은 생활공간이 거의 동일구역내에 섞여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 3개 시도는 물론 중앙정부까지 수시로 수도권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정책을 추진하려는 이유도 수도권 주민들의 편의성과 정책의 효율성을 함께 제고하고자 하는 데 있다.
 지난 6·13 지방선거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됐던 수도권 광역교통기구 설치가 사실상 무산위기에 처해 있다는 보도는 지속적인 택지개발과 인구집중현상 등으로 심화되고 있는 수도권의 교통난을 덜 수 있는 일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던 2천만 수도권 주민들을 크게 실망시킬 것으로 보인다. 손학규 경기지사와 이명박 서울시장의 선거공약이기도 했던 수도권 광역교통기구 설치문제가 이처럼 원점에서 맴도는 이유는 조직구성과 예산상의 문제로 인한 건설교통부 등 중앙부처와 3개 시도간의 이견조율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데 있다고 한다.
 지하철과 심야버스 등 대중교통 운행시간의 연장은 물론 3개 시도를 잇는 도로 및 지하철노선의 연장과 조정, 교통카드의 통합사용 등 올 들어 협의중인 수도권 교통대책들은 수도권 주민들에게는 일상생활과 크게 관련된 아주 중요한 사안들이다. 추석연휴 직후인 지난 23일 밤늦게 귀경한 시민들이 지하철과 심야버스를 이용할 수가 없어 다음날 새벽까지 큰 곤욕을 치른 사례에서도 나타나듯이 수도권내 교통문제를 다룰 광역교통기구 설치를 더 이상 미루면 곤란하다.
 인천 경기 서울 등 3개 시도의 고위책임자들은 물론 지역내 국회의원과 시도의회 모두 수도권 광역교통기구의 조속한 설치를 촉구하는 주민들의 요구를 적극 수용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주길 바란다. 3개 시도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수도권 광역교통기구가 중앙정부 관련부처와 협의해 나가는 것이 수도권 교통난 해소대책 수립에 훨씬 신속한 것은 물론 결과도 효율적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