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내 입주업체들의 자가공장 비율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남의 땅이나 공장을 빌려 운영하는 임차업체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단지내 경제활동에서 부동산 임대업 등 비실물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생산활동 위축이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2일 한국산업단지공단 경인지역본부에 따르면 올 7월말 현재 남동단지내 임차업체는 3천7백18개 전체 입주업체 중 1천8백24개로 49.1%를 차지, 2개 업체 중 1곳은 자가공장이 아닌 남의 땅에서 공장을 운영중이다.
 이는 전체 3천78개 업체 중 1천2백88개가 임차공장(41.8%)이었던 지난 2000년 1월에 비해 7.3%가 증가한 것으로, 2년여 사이에 공단 입주업체들 중 제조업에서 임대업으로 전환한 사업자가 그만큼 늘어났다.
 특히 올 들어 단지내에서 부동산 임대업을 시작한 업체들이 보유한 토지가 전체 임대업체 보유면적의 21.66%(5만4천9백32.92평)에 달하고 있어 부동산 임대업이 일약 단지내 ‘유망업종’으로 떠오른 상태다.
 부동산업계는 임차업체의 비중이 늘어난 이유를 IMF 외환위기 당시 부도·도산으로 쏟아져 나온 공장부지와 설비를 임대업자들이 싸게 사들인 뒤 조금씩 쪼개 파는 과정에서 땅값도 동반 상승했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단지내 부지가격의 상승은 업체들의 원가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말 단지분양의 최종 완료를 전후해서는 평당 80만원대 후반이던 땅값이 1백만원선으로 올랐고 다시 올 3∼4월부터는 평당 1백50만∼2백만원선으로 폭등한 상태다.
 단지내 S공인중계사 대표 하모씨는 “올 들어 돈벌었다는 말을 듣는 사람들은 대부분 공장부지를 사고팔아 차익을 챙긴 사람들”이라며 “현재 공장을 운영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빚을 얻어서라도 공장을 사 임대하는 게 낫다’는 생각이 팽배해 있다”고 전했다.
 평당 1백만원에 산 땅이 세 달만에 1백50만원 이상까지 뛰어오르니 은행이자를 감안하더라도 생산활동으로 얻는 마진에 비해 ‘장사가 된다’는 것.
 사정이 이렇다 보니 업체들의 원가부담은 물론 생산활동을 통한 수익창출 등 건전한 경제마인드마저도 저해하고 있어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인천발전연구원 이상철 박사는 “공장임대료와 매매가 급등은 업체들의 경영이나 경제활동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송영휘기자> yws@incheo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