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사이 적재물 해소·경고문 설치
건물주 미동의 등 이유 부정적 반응
소방관 “저예산…무조건 참여해야”
경기도청 전경. /사진출처=경기도청 홈페이지
경기도청 전경. /사진출처=경기도청 홈페이지

경기도가 추진 중인 상가 밀집지역 화재 저감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일선 시·군이 코로나19 대응 업무와 예산 확보, 건물주의 미동의 등을 이유로 사업 동참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서다. 현재 고양시만 사업 추진에 동의한 상태다. 나머지 30개 시·군은 참여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도의 고민이 깊다.

11일 도에 따르면 최근 상가 밀집지역 협소 공간 화재 저감 사업 계획을 세웠다.

이는 상가 건물과 건물 사이 빈 곳에 쌓인 적재물을 치우고, 화재 경고 문구를 적은 홍보물을 설치해 대형 참사를 미리 예방하는 정책이다.

실제로 2016년부터 지난해 8월 사이 도내 상가 밀집지역 협소 공간에선 총 114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일 년에 23건꼴로 불이 나는 셈이다. 이런 화재로 이 기간 한 명이 목숨을 잃었다. 재산 피해만 24억7000만원에 이른다. 화재 원인의 88건(70%)이 상가 건물과 건물 사이의 공간에 버린 담배꽁초 때문이었다.

상황이 이러자 도는 지난해 12월 안전관리민관협력위원회 정기회의를 열고 상가 밀집지역 협소 공간 화재 저감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당시 회의에 참여한 위원들 역시 도민 생명과 재산 보호에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적극적인 추진을 요청했다.

이에 도는 지난 1월 자체 계획을 수립했다. 특히 개인 소유인 상가 건물에 경고문(로고젝터)을 설치하는 게 공직선거법에 저촉되는지도 검토했다.

선거관리위원회도 법적으로 가능하다고 회신했다.

문제는 여기부터다. 도는 사업을 추진하고자 최근 31개 시·군에 동참 의사를 물었다. 그런데 고양시만 한다고 답한 것이다. 의정부·포천시 등 30개 시·군은 부정적인 의견을 밝혔다. 일부 시·군은 아예 회신도 하지 않았다.

대부분 코로나19 대응 업무로 바쁘고, 예산 확보도 어렵다는 이유를 댔다. 건물주 참여를 독려하기도 쉽지 않다고 했다.

그러나 이를 두고 일선 시·군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소방관 A씨는 “이런 태도가 바로 행정 기관의 근본적인 문제다. 화재를 미리 막자는 것인데 거기에 코로나19 업무 핑계를 댄다. 만약 화재 피해가 생기면 그때는 뭐라고 할 것이냐”라며 “무엇보다 상가 건물에 경고문을 붙이는 데 예산도 많이 들지 않는다. 화재 저감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옳다”고 지적했다.

도 관계자도 “시·군이 처한 상황과 생각은 다를 순 있다고 본다”면서도 “협소 공간의 화재 위험이 크니 이를 예방하자는 취지다. 그런 만큼 상반기 안전관리민관협력위원회를 열고 사업 재추진 여부를 논의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경기지역 상가 건물은 총 25만9950동이다. 전국의 상가 건물 129만4368동과 비교할 때 20.1%에 해당하는 수치다.

/황신섭 기자 hss@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