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를 1년 전으로 돌려보자. 2020년 1월20일 코로나19 확진자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했다. 이어 2월 초 확진자의 군포 경유 사실이 확인됐다. 위기감이 엄습해왔다. 즉각 전 직원 비상근무체제 가동을 지시했다. 다중이용시설 등에 대한 방역을 시작했다. 시 주최 행사 취소 결정 등도 내렸다. 하지만 코로나는 군포를 비켜 가지 않았다. 정확히 1년 전인 3월5일 군포 첫 확진자가 나왔다. 머리칼이 쭈뼛 섰다. “군포도 예외는 아니구나”하는 탄식이 절로 나왔다.

시계를 다시 2021년 3월5일에 맞춰보자. 군포시 누적 확진자는 633명. 1년 동안 하루 평균 1.7명꼴로 발생한 셈이다. 수도권의 다른 기초자치단체들에 비해 확진자가 많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군포가 교통요충지라서 유동인구가 많다는 점이 한 원인으로 보인다. 어쨌든 확진자 발생이 일상이 됐다.

지난 1년 동안 삶의 방식이 참으로 많이 변했다. 상전벽해(桑田碧海)란 이럴 때 쓰는 말인가. 사회적 동물(혹은 정치적 동물)인 인간들이 무리 지어 만나기 힘들게 됐으니,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를 수정해야 할 지경이다. 물론 비대면이라는 대안적 만남의 방식이 등장했지만, 얼굴을 맞대고 서로 부대끼면서 만나는 것에는 비하지 못할 것이다. 그래도 '포스트 코로나19 사회'라는 용어에 익숙해질 정도로 비대면 삶의 방식은 우리 사회 깊숙이 들어왔다. 웬만한 행사, 회의, 교육 등은 비대면 플랫폼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간혹 아침 출근길에 집을 나서는데 얼굴이 뭔가 허전할 때가 있다. 인간은 망각의 동물인 만큼, 깜빡한 것이다. 아차!! 부랴부랴 마스크를 찾아 쓴다. 점심시간에 구내식당을 찾는다. 위생 장갑을 끼고 식판에 음식을 담아 칸막이가 설치된 테이블로 가서 가급적 말없이 식사한다. 구내식당에서의 점심은 직원들과의 소통 시간이지만, 어쩔 수 없다. 시장부터 모범을 보여야 하기 때문이다. 마스크 착용과 거리 두기 같은 방역수칙, 비대면적 삶이 다소 불편하지만, 국민은 비교적 잘 적응해나가고 있는 것 같다. 군포시는 변화된 여건에 맞는 다양한 지원책을 시행해왔다. 시민들도 시에 협조하면서 불편을 감내하고 있다. 시청 직원들도 밤낮으로 매달려왔다. 시장으로서 시민들과 시청 공무원들께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

군포시민 중에 힘들어하지 않은 분은 없을 거다. 특히 문제는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 등 소상공인들의 딱한 사정이다. 넓게 보면 중산층 대부분이 어렵다. 코로나19의 파편을 맞았음에도 제도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중산층이 붕괴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 이는 민주주의 위기로 연결된다. 핵심은 중산층 생존권 문제다. 개인 잘못으로 인한 개인 문제가 아니다. 시각을 바꿔야 한다. 재난극복 지원이든 보상이든 한시가 급하다. 그런데 중산층을 보호하는 데는 지방정부의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큰 틀에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지난 1년 동안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전·사후 방역, 확진자 관리, 시민들에 대한 물적 지원에 주력했다면, 올해는 백신 접종이 추가됐다.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한 백신 물량 확보에서부터 체계적인 접종절차 마련과 시행 등 시민들이 불편과 혼란 없이 접종받으실 수 있도록 만반의 대책을 강구하겠다.

2020년 3월5일 이후 1년이 지났다. 계절이 한 바퀴 돌았다. 하지만 코로나19와의 전쟁은 아직도 끝이 안 보인다. 변이까지 등장했다. 백신 접종이라는 무기가 투입되기 시작했지만, 장기전을 각오해야 하는 상황이다. 시민들의 협조가 더욱 필요해졌다.

갈 길은 멀고 험난하다. 헌법 제117조는 지방자치단체를 주민복리 관련 사무를 처리하고 재산을 관리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법 제8조는 지방자치단체는 주민편의와 복리증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돼 있다. 올해 신년사에서 언급한 마부위침(磨斧爲針, 아무리 힘든 일도 끈기와 노력으로 해내고야 만다)을 되새겨본다. 군포시민의 복리증진과 안전을 위해서라면 코로나와의 어떤 전쟁이라도 마다치 않겠다.

/한대희 군포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