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옥 같은 출퇴근길? 생활비와 끼니는?...마땅한 답이 없다
▲ “서울로 향하는 출근길 만원 지하철에서 옷이 문에 껴버렸어요.”-1993년 인천 부평에서 태어난 윤혜민씨
▲ “서울로 향하는 출근길 만원 지하철에서 옷이 문에 껴버렸어요.”-1993년 인천 부평에서 태어난 윤혜민씨
▲ “월요일 출근길 서울행 지하철에선 사람 뒤만 쫓으면 됩니다.”-1995년 인천 계양구에서 태어난 이수진(가명)씨
▲ “월요일 출근길 서울행 지하철에선 사람 뒤만 쫓으면 됩니다.”-1995년 인천 계양구에서 태어난 이수진(가명)씨
▲ “저도 저 아저씨처럼 지하철 열차 바닥에 앉고 싶어요.”-1993년 인천 서구에서 태어난 정미나(가명)씨
▲ “저도 저 아저씨처럼 지하철 열차 바닥에 앉고 싶어요.”-1993년 인천 서구에서 태어난 정미나(가명)씨
▲ “시간이 빠듯한데, 한번에 탈 수 있을까요?”-1991년 인천 남동구에서 태어난 유소율씨
▲ “시간이 빠듯한데, 한번에 탈 수 있을까요?”-1991년 인천 남동구에서 태어난 유소율씨

▲기획 안내서

'인천형 청년베이비부머' 삶의 경로를 추적하려고 한다. 인천에서 태어난 1991년생(4만772명), 1992년생(4만2840명), 1993년생(4만1731명), 1994년생(4만1680명), 1995년생(4만1246명)들을 인천베이비붐 세대로 규정했다. '이주민의 도시'라는 꼬리표를 떼고 인천 역사상 한 해 출생아 수가 유일하게 4만명을 넘어선 다시 못 올 인구 황금기다. 2020년 기준 인천지역 출생아 수는 1만6000명까지 추락했다.

인천베이비부머 나이대는 지금 만 26세부터 만 30세 정도로, 지역 고용과 소비, 출산 등 도시 유지를 위한 핵심 항목들을 관통하는 세대로 자리 잡는 중이다. 동시에 대학 졸업과 취업 경계에서 지역 내 마땅한 터전을 찾지 못하고 신음하고 있다.

▲ “인천만 벗어나면 어김없이 막히네요.”-1992년 인천 동구에서 태어난 김유진씨
▲ “인천만 벗어나면 어김없이 막히네요.”-1992년 인천 동구에서 태어난 김유진씨
▲ “인천으로 향하는 퇴근길에선 조바심과 싸워야 합니다. 배고프거나 화장실 가고 싶은데 영락없이 막히거든요.”-1994년 인천 남동구에서 태어난 유성재씨
▲ “인천으로 향하는 퇴근길에선 조바심과 싸워야 합니다. 배고프거나 화장실 가고 싶은데 영락없이 막히거든요.”-1994년 인천 남동구에서 태어난 유성재씨
▲ “자취를 시작하고 겨울이면 집에서 무조건 털신 신어요. 난방비 아껴야죠.”-1992년 인천 남동구에서 태어난 강민지씨
▲ “자취를 시작하고 겨울이면 집에서 무조건 털신 신어요. 난방비 아껴야죠.”-1992년 인천 남동구에서 태어난 강민지씨
▲ “올해부터 서울서 자취를 시작한 초보 '자취러'입니다. 본격적인 '혼밥'이 시작됐어요. 잘 차려 먹으려고 노력 중입니다.”1994년 인천 미추홀구에서 태어난 김예빈(가명)씨
▲ “올해부터 서울서 자취를 시작한 초보 '자취러'입니다. 본격적인 '혼밥'이 시작됐어요. 잘 차려 먹으려고 노력 중입니다.”1994년 인천 미추홀구에서 태어난 김예빈(가명)씨

▲본문

지난 2019년. 인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100명 중 68명이 곧바로 대학에 진학했다. 학교 유형 상관없이 해당 연도 지역 전체 고등학교 졸업자 3만1422명 가운데 2만1549명(진학률 68.6%)이 대학 입학을 선택했다. 인천지역 대학 진학률은 2010년대 진입하면서 60% 중후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인천베이비부머 끝 세대인 1995년생이 대학에 입학하던 2014년 대학 진학률 역시 2019년과 마찬가지로 68.8%를 나타냈다. 기획 도입부에 지역 대학 진학률을 언급하는 이유는 청년들이 취업 전선에 뛰어드는 실질적 나이대가 20대 중반부터라는 배경 설명이 필요해서다.

현재 만 26세에서 만 30세까지 이어지는 인천베이비붐 세대는 전체 생애 주기 중 '대학 졸업'과 '취업' 사이쯤에 놓여 있다고 짚고 싶었다. 이들의 고단함은 '대학 졸업'과 '취업' 경계에서 본격화한다. 평생 익숙했던 인천이라는 삶의 터전이 자신들 발목을 잡기 시작한다. 전공을 살릴만한 눈에 띄는 일자리가 주로 서울과 경기에 몰려 있는 구조가 가장 큰 문제다. 취업 성공 순간에서 선택지 두 개를 손에 쥐는 셈이다. 서울이나 못 해도 그 주변으로 '이주' 또는 '왕복 3시간 출퇴근'. 어느 하나 녹록지 않는 것들이다. 인천 역사상 출생아 몸집이 가장 컸던 1991년부터 1995년까지 즉, 인천베이비부머들이 20대 중반을 넘어서는 지금 시기에 서울과 경기 일자리에 기대 성장하면 자신 삶에서 인천 기반은 차츰 옅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우려는 말뿐이 아니다. 한국고용정보원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7년분 로데이터 1만8000여건을 확보해 분석했다. 2016년 8월과 2017년 2월 전문대와 대학 졸업자 중 1만8081명을 표본으로 삼아 설문 조사한 내용이다. 전체 표본 중 첫 직장 위치를 밝힌 인천 출생자 340명에서 첫 직장이 인천 기업인 경우는 118명(34.7%)에 그쳤다. 반면 서울과 경기 기업 입사가 각각 118명(34.7%), 69명(20.3%)으로 과반(55%)을 차지했다. 인천토박이 대졸자가 졸업 후 첫 직장이 인천지역인 비율이 절반에도 못 미치는 대신, 서울과 경기 유출이 심각하다는 유의미한 통계다. 인천 출생자 표본 340명에서 인천베이비붐(1991~1995년) 세대는 78.5%인 267명이다.

/이주영·김원진·이창욱 기자 kwj7991@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형 청년 베이비부머 연구록] 1. 취업전선에 선 그들 통근이냐 이주냐-수도권 일자리 파워 게임에 밀려 허리 세대 휘청휘청 이번 기획 1-1편에서 말한 대로 인천 출신 청년 대졸자 중 절반 이상은 서울과 경기에서 첫 직장을 잡는 추세다. 5년 연속 출생아 수가 4만명을 넘어선 인천지역 1991년생부터 1995년생까지, 그러니까 인천형 청년베이비부머들은 현재 대학 졸업과 취업 경계에 서 있다.취업이라는 어둡고 긴 터널을 통과하더라도, 기존 터전인 인천과 일터의 거리적 괴리감 때문에 이주냐 왕복 3시간짜리 통근이냐를 놓고 괴로운 선택에 빠진 셈이다.▲인천, 서울·경기 대졸자 인력 공급책세계 4위 경제권으로 평가받는 수도권에서 한 축을 담당하는 인천이 서울과 [인천형 청년 베이비부머 연구록] 1. 취업전선에 선 그들 통근이냐 이주냐-서른 즈음에 고향서 점점 더 멀어져 간다 지난해 기준으로 인천지역에서 인구 수가 높은 연령 순서대로 줄 세워 보면, 만 28세, 즉 1992년생들은 4만4307명으로 상위 23위에 위치한다. 고령화 시대 영향으로 인천 1세별 인구수가 4만명을 넘어서는 나이대는 대부분 40세 이상이다. 30대들 1세별 인구수도 대부분 3만명대에 그친다. 기사에 언급하는 데이터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자료에 기초한 내용이다.▲2020년, 인천베이비부머 인구 하락 첫 목격만 28세인 1992년생뿐만 아니라 같은 인천형 청년베이비붐 세대인 27세 1993년생(4만359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