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집콕 배달소비 급증
도내 작년 하루 평균 367t 증가
재활용 선별·소각시설 태부족

쓰레기 억제·재활용 대책 시급
오늘 전문가 토론회 해법 모색
/연합뉴스

경기도와 일선 시·군이 생활 쓰레기 처리 대란에 직면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진 도민들의 소비 방식이 배달 중심으로 변하면서 생활 쓰레기 배출량이 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시대에 맞는 생활 쓰레기 발생 억제와 재활용 활성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시·군은 자구책을 모색하는 중이다.

▶관련기사 3면

4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하루 평균 생활 쓰레기 발생량은 2018년 1만2406톤이다. 2019년엔 1만2458톤으로 52톤 늘었다.

그러다 코로나19가 터진 지난해엔 1만2825톤으로 전년과 비교해 367톤 증가했다.

이를 연간으로 계산하면 지난해 생활 쓰레기 배출량이 전년보다 13만3955톤이나 더 발생한 것이다. 코로나19 상황이 이어지면 올해 배출량은 지난해보다 더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도내에서 나오는 생활 쓰레기 중 61%는 재활용한다. 문제는 나머지 39%다.

우려되는 지점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생활 쓰레기 중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을 골라 압축하는 자체 선별장이 27개 시·군에 고작 50곳뿐이라는 점이다. 이게 없는 남양주·고양·오산시·이천시는 민간 선별장에 맡기는 상황이다.

다른 하나는 재활용이 안 되는 생활 쓰레기의 소각·매립 문제다.

수원·성남·의정부시 등 26개 시·군엔 23개 공공 소각시설이 있다. 하지만 처리 용량이 모두 다르다. 수원시는 하루 평균 600톤이 가능하지만, 하남시는 불과 48톤이다.

이마저도 여주·동두천·시흥·의왕시와 가평·양평군엔 공공 소각시설 자체가 없다.

그렇다고 해서 민간 시설에 생활 쓰레기 소각을 맡기기도 어렵다. 도내 59개 민간 소각시설 중 36개는 소형이다. 23개는 중형이나 공공 소각시설에 견줘 처리 용량이 크게 떨어진다.

이런 가운데 2018년부터 지난해 9월 사이 포천·평택·양주시 등 8개 지역에서 운영하던 12개 소규모 소각시설은 노후화와 유지 관리 부담을 이유로 문을 닫았다.

일선 시·군은 불에 태우기 힘든 생활 쓰레기를 수도권매립지에 가져가기 힘들다고 말한다. 반입총량제 탓이다.

상황이 이러자 도는 5일 환경 분야 전문가들과 토론회를 열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도는 올해 수원시에 여러 번 쓰는 포장재 사용 거점센터를 만든다. 또 아이스팩 재사용 순환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지금까지 경제과학진흥원이 담당하던 업사이클플라자 운영을 다음 달부터 환경에너지진흥원에 맡기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1인 가구가 늘고, 코로나19 여파로 배달 소비가 늘면서 생활 쓰레기 발생량도 증가하는 추세다”라며 “올해 91억원가량을 투입해 배출량은 줄이고, 재활용 사용량은 늘리는 10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황신섭 기자 hss@incheonilbo.com



관련기사
[코로나가 부른 배달문화] 치워도 끝없는 쓰레기… 도내 기초정부 발동동 경기도내 기초정부가 코로나19로 늘어난 생활 쓰레기 처리에 애를 먹고 있다. 배달 문화가 점점 발달하면서 쓰레기 발생량 역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4일 도내 31개 시·군 생활 쓰레기 관련 업무 담당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한 쓰레기 배출량이 크게 늘었다고 입을 모은다.이 중 재활용 자체 선별장이 없는 도내 기초정부 4곳은 민간 업체에 위탁을 맡겨야 할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다.생활 쓰레기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을 골라 압축하는 자체 선별장의 중요도가 높아졌지만, 민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