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여야 의원들이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그러나 인천공항 중심의 MRO 조성에 대한 외부에서의 반대 기류가 탐지되는 등 국제공항의 안전이 불안하다. 인천국제공항은 세계 10대 공항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유일하게 항공정비 시스템이 미흡해 국가 경쟁력마저 위태롭게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사천공항을 둔 경남의 반대가 변수로 등장했다.

지난 6일 대정부질문에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의 인천 MRO조성에 대한 시각은 한마디로 부정적이었다. 경남 사천으로 항공정비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인천공항공사의 직접 투자를 가능하게 할 개정안은 국민의힘 배준영(인천 중구·강화·옹진군), 더불어민주당 윤관석(인천 남동을) 국회의원 등 대부분의 인천 여야 의원들이 투 트랩으로 발의한 법안이다. 핵심은 인천공항공사의 직접 투자이지만 국토부는 반대 의사를 노골적으로 비췄다. 영종국제도시총연합회, 올댓송도, 서창지구자치연합, 루원총연합회와 인천경실련이 인천 MRO 조성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비판하고 나선 이유이기도 하다. 어제 이들 주민단체와 시민단체가 주도한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 및 항공MRO 인천 유치'를 위한 기자회견도 국가 균형발전은 물론 항공산업 발전에 기여할 인천의 역량이 정치적 의도로 무산될 위기라는 우려에서였다.

교통법안심사소위에서 병합 심사를 앞둔 개정안은 반드시 통과돼야 할 현안이다. 항공 분야 전문기관인 송도 인천산학융합원 유창경 인하대 교수는 “정부가 강제로 LCC를 지방공항으로 배정하는 등 강제 재편이 이뤄질 경우 우리나라 MRO 시장은 기형적이자 실패할 우려가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국토부가 지난해 12월 인천공항을 해외복합 정비 기지로 육성하겠다는 지역 MRO 역할 분담 취지를 뒤집은 국토부 장관의 입장은 편중된 정치적 행위로 보일 뿐이다.

지난 20대 국회에서 상임위까지 통과한 법안이 법사위에서 좌절됐었다. 다시 21대 국회 지역의원들의 분발을 요청한다. 인천공항의 항공기 지연·결항 횟수가 증가하고 연 1조원에 달하는 항공 정비 예산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현실은 바로잡혀야 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인천공항 육성이 국가과제라면 대한민국의 민낯을 가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