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서 화학물질 관련 사고가 계속 일어난다. 지난 19일 근로자 3명이 숨지고 6명이 다친 남동공단 내 화장품 제조공장 화재도 그렇다. 화학물질을 이용한 작업 중 폭발과 함께 일어났다. 별로 어둡지 않은 오후에 발생한 화재이지만, 갑작스러운 화학물질 폭발로 사고를 키웠다. 근로자들이 미처 대피하지 못한 탓이었다. 지난 7월에도 서구 내 한 화학제품 생산업체에서 폭발사고로 근로자 1명이 숨졌다. 2018년엔 폐유와 알코올을 재활용 처리하는 서구 가좌동 이레화학 공장에서 큰 불이 나기도 했다.

지난 10년간 인천에서 발생한 화학물질 관련 사고는 38건에 이른다. 최근 3년 통계만 보더라도 2017년 4건, 2018년 5건, 지난해 3건으로 지속적으로 사고가 발생한다. 특히 서구와 남동구의 경우 산업단지를 끼고 있으면서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이 밀집한 상태다. 지난해 말 기준 화학물질을 다루는 제조업 분야를 보면 남동구 43곳, 서구 25곳으로 파악됐다. 최근 5년간 남동공단 재해사고는 9명이 숨진 2018년 세일전자 화재 참사를 포함해 16건에 달한다. 1980년 국가산업단지로 조성된 이후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화재 등 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화학사고'는 독성가스를 내뿜으면서 심각한 인명피해를 낼 수밖에 없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힌다. 무엇보다 사람이 다치는 일에선 예방이 급선무이지만, 이어지는 사고에서 보듯 소홀하기만 하다. 공장 밀집 지역엔 사고 위험이 크지만, 매번 사망사고가 나고 나서야 관리 문제를 지적하고 뒤늦게 현장점검을 벌이는 악순환을 거듭한다. 여기서 '사후약방문'은 필요하지 않다. 더 많은 생명을 잃기 전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공단 지역엔 유증기나 가스 등의 폭발 위험이 늘 도사리고 있다. 그래서 안전교육을 더 강화하고 안전 장비를 최신화해야 마땅하다. 화학물질 사고는 유증기나 현장분진 등으로 발생하므로, 통풍이나 환기 시설 개선이 불가피하다. 대부분의 중대재해는 시설 관리와 안전 관리 미흡 등으로 일어나지만, 현장에선 잘 지키지 않는다. 이를 관리·감독해야 할 자치단체와 고용노동부, 소방당국 등에 일정한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 종합적으로 재발 방지책을 세우길 촉구한다. 안전대책이 미봉책으로 그쳐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