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 3년, 예산 적고 참여 제한…지원조례 제정·협력지원센터 설립 제기
/사진제공=수원시의회
/사진제공=수원시의회

수원지역에서 3년 전부터 시작한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선 지역민의 활발한 참여를 보장할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마을교육공동체는 주민과 학교, 학생이 함께 소통하면서 특색있는 교육을 만들자는 데에서 출발했는데, 참여를 보장할 환경이 갖춰지지 않는 한 제대로 작동하기 어렵다는 관점에서다.

수원시마을교육공동체협의회(이하 협의회)는 12일 수원시의회에서 '수원시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2018년 수원시가 도교육청의 혁신교육지구로 지정됨에 따라 추진 중이던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내실화 방안을 찾자는 취지다.

그동안 시에서는 체험, 주민교육 등 여러 가지 혁신 교육을 진행해 왔다. 수원화성 가치 계승 교육, 1학생 1악기 뮤직스쿨, 지역과 함께하는 마을탐방 교육 등이다.

하지만 학교와 학생 수보다 예산이 적어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협의회는 분석했다. 실제 올해 수원시 예산은 34억원으로 책정됐다.

수원지역 203개교보다 32개교 적은 화성시는 무려 153억원에 달한다. 수원시와는 100억 넘게 차이 난다. 수원시보다 학교 수가 절반도 안 되는 파주시는 53억원으로 수원시보다 19억원 많다.

조규정 협의회장은 이날 “화성시는 1개교당 4000만원 안팎의 예산이 지원되지만, 수원시는 900만원이어서 학생들이 교육의 혜택을 제대로 누릴 수 없다”고 지적했다.

최미숙 별나들이 꿈의 학교 교장은 “이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선 지역민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간도 필요하다”며 “공동체 활동가들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정한 활동비와 재료비 등을 지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예산 편성과 사업 방향성도 마을교육공동체가 참여하는 것이 아닌 전적으로 시가 담당해 참여가 제한된다는 의견도 나왔다.

조 협의회장은 “마을이 직접 교육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생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지역에서 성장하고 일 할 수 있는 교육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해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 참여자들은 마을공동체가 단편적이지 않고, 계속해서 이어나가기 위해선 조례 개정 등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조례를 통해 마을공동체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하고, 마을간 네트워크 구축이나 전반적인 교육 방향의 기틀을 잡을 수 있는 '협력지원센터' 설립을 통해 공고히 해 나가자는 것이다.

김수정 수원마을미디어 진로맘은 “마을교육공동체를 이루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마을의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하고, 장기적으로 이어져 갈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런 환경이 갖춰진다면 학생들이 자신의 꿈과 끼를 찾아가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조규정 수원시마을교육공동체협의회장을 비롯해 이석기 협의회 이사, 김범순 협의회 이사, 안기희 협의회 이사, 김수정 협의회 이사, 최미숙 협의회 이사, 이석기 전 안성교육장, 서우철 경기도교육청 마을교육정책과 장학관, 이은주 수원교육지원청 장학사 등이 참여했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