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철 경기 동부취재본부 차장

하남시의 대표적 구도심인 신장동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하남시가 제안한 '신장 생활 SOC(사회간접자본) 복합시설 복합문화 공간 조성' 사업이 정부의 2020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신규 사업으로 선정됐기 때문이다. 100억원 규모의 국비를 확보한 만큼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현재 하남시는 신•구도심 간 인구쏠림 현상이 심각하다. 미사강변도시, 감일지구, 위례지구 등 대규모 택지개발에 따른 영향이다. 신도시로 인구가 밀집되다 보니 편의•업무지원시설도 신도시에 집중되고 있다. 반면 구도심은 인구 감소와 도심 공동화로 상대적 박탈감과 교육•문화적 소외감이 상당하다.

도시재생은 소규모 정비사업이다. 낙후된 주거지를 한꺼번에 밀어버리고 대규모 주택을 짓는 종전 방식과 달리 사업 대상지의 특성과 주민 의견을 반영해 추진해야 한다. 사업 추진은 주민 입장에서 최우선으로 고민하고, 사업 과정은 영세상인과 저소득 임차인이 삶의 터전에서 내몰리지 않아야 할 것이다. 만약 도시재생의 결과로 원주민들이 떠난다면 그 재생은 완전히 실패한 사업이다.

도시재생은 맞춤형 재생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주민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주민 참여가 중심이 되고, 지자체가 돕는 형태로 진행돼야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고 조언한다. 다행히 하남시는 도시재생 사업 추진에 앞서 주민 역량을 높이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다양한 소통채널을 가동하고 있다. 주민 역량 강화 및 공감대 형성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신장동 현장지원센터(장다방), 도시재생 시민추진단, 도시재생대학 운영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도시재생은 맞춤형 재생인 만큼 주민 의견 수렴과 조율 과정이 쉽지 않다. 합의점을 찾기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자칫 구체적 성과나 숫자에 얽매일 수도 있다. 당초 취지대로 주민의,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신장동 도시재생 사업이 추진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