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코드(바코드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격자무늬의 2차원 코드)을 이용한 방역시스템을 도입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일부 다중이용시설에서는 실효성이 없고 부작용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 연수구에 있는 헬스클럽들에서는 회원들이 QR코드 시스템를 잘 이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일단 네이버를 통해 스마트폰에 앱을 깔고 인증을 받아 QR코드를 발급받아야 하는 절차를 40대 이상 회원들은 번거러워 하는 경향이 있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회원 출석체크기를 통해 출입이 확인되는데도 굳이 QR코드를 사용해야 하느냐는 식의 반응이 많다고 한다.

B헬스클럽 주인 장모씨는 “당국이 하라고 해 (QR코드를) 사용하지만 이중, 삼중의 일이 되고 있다”면서 “QR코드를 입력하고 들어오는 회원은 30% 정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QR코드 사용에 강제성이 없는 것도 한 요인이라고 한다.

인근에 있는 W명상센터는 사정이 더하다. 회원이 30여명에 불과하고 출입이 컴퓨터로 관리되고 있음에도 매일 회원들에게 QR코드 입력을 권해 회원들이 짜증을 내는 일이 속출하고 있다. 게다가 원장이 회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령층에게 스마트폰 QR코드 사용법을 가르쳐 주는 과정에서 밀접접촉이 일어 오히려 거리두기 지침을 역행하는 일마저 벌어지고 있다.

이곳 원장은 “노래방 등 불특정 다수가 드나드는 곳에 QR코드가 필요한 것이지 철저히 소수 회원제로 운영되는 시설까지 적용하는 것은 보여주기식 행정”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고양시는 일산•능곡•원당시장 등 전통시장 3곳에 QR코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지만, 이용객들은 대개 QR코드 자체를 모르거나 등록을 거부하고 있다. 한 주민은 “QR코드가 뭔지도 잘 모르겠고, 번거로워 이용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방역당국과 지방자치단체가 QR코드 시스템 적용 대상을 어떤 식으로 정했는지 의문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 의욕만 앞서 시스템을 많이 도입하는 것에 중점을 둔 흔적이 도처에서 드러나고 있다. 코로나 사태라는 엄중한 상황에서 이런 데까지 전시행정을 펼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와서 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