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0억 쓰고 보상비 수백억 들일 판
박영길 상수도사업본부장이 19일 시청 기자실에서 수돗물 유충 발생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출처=인천시
박영길 상수도사업본부장이 19일 시청 기자실에서 수돗물 유충 발생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출처=인천시

지난해 인천지역 적수 사태에 이어 올해 유충까지 거듭된 수돗물 관리 실패로 모두 더해 수백억 원에 이르는 혈세가 투입될 전망이다.

19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1년 전, 인천 적수 문제로 주민들 생수 구매 비용과 저수조 청소비, 필터 교체비 등 피해 보상비로만 총 331억7500만원이 지급됐다.

이번에 수돗물에서 유충을 발견한 다음에도 인천시와 자치단체들은 피해 주민들에 대한 보상 방침을 확정하진 않았으나 바로 직전 적수 보상 방식과 비슷하게 흘러가지 않겠느냐는 말들이 나온다. 다만, 유충이 나온 가정 수가 적수 때만큼 많지는 않아 보상비로 쓸 세금은 작년보다 적을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적수 사태를 교훈으로 상수도를 획기적으로 혁신하겠다며 설치한 기반시설이 유충 발생 주요 원인으로 지목돼 이에 대한 개선 비용은 또 얼마나 들 거냐는 점이다.

인천시는 2019년 8월 말부터 적수 원인을 제공했던 서구 공촌정수장에서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조기 가동했다. 원래 9월 말 가동 예정이었으나 수돗물 신뢰 회복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게 하겠다며 결정한 일이었다. 공촌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짓기 위해 쓴 사업비만 390억원(국비 193억, 시비 197억원)이다.

하지만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계획보다 서둘러 가동하면서 제대로 된 운영에 실패해 '활성탄(숯) 여과지'로 벌레가 유입됐다는 추정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 18일부터 시와 한국수자원공사, 한강유역환경청, 국립생물자원관 등이 합동으로 조사에 나서면서 조만간 원인이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만약 이 같은 추정이 사실이라면 세금 수백억 원을 투입해 진행한 사후 처리 과정에서 조급증 때문에 화를 입은 셈이다.

한편, 인천시는 적수 사태 이후 정수처리시설 고도화 추진과 함께 수질감시체계 강화,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노후관 조기 교체 및 정비 등 다양한 대책을 추진했다. 적수 사태로 시설 투자를 하면 수돗물 요금 현실화는 2018년 96.7%에서 지난해 77.95%로 떨어졌다.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