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오전 인천 강화군 평화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마을이 해무에 뒤덮여있다./연합뉴스
▲ 24일 오전 인천 강화군 평화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마을이 해무에 뒤덮여있다./연합뉴스

△1950년 한국전쟁 발발

70년 전 바로 오늘, 한반도 허리를 가르는 38도선 전역에서 남북 간 전면전이 발생했다.

38선을 넘은 북한군은 3달 만에 낙동강까지 밀고 내려왔다.

미국은 극동군 사령관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유엔 산하 16개국의 병력으로 북한에 맞섰다.

낙동강 전선이 장기화되자, 그해 9월 15일 전선의 허리를 자르는 인천상륙작전을 감행했다.

9월28일에는 서울 탈환에 성공했고, 10월 19일 평양을 점령한데 이어 11월에는 압록강에 도착했다. 전쟁이 시작된 지 5개월 만의 일이었다.

그러나 곧바로 중국군이 개입해 유엔군은 다시 밀리기 시작했다.

12월 14일에는 흥남에서 철수했고 1951년 1월 4일에는 서울에서도 밀려났다.

두 달 뒤 서울을 재탈환하는데 성공했지만, 휴전협정이 체결된 1953년 7월 27일까지 38선 주변에서 2년 4개월간 '밀리고 밀리는' 전투를 계속했다.

 

△참혹한 전쟁의 상흔

전쟁이 계속되는 동안 남북한과 참전국이 입은 피해는 참혹하기 이를 데 없었다.

공식통계에 따르면, 한국과 유엔군 17만8천여 명, 북한군과 중국군 63만 명이 각각 사망했고, 양쪽을 합쳐 90만 명이 부상을 입었다,

민간인 사상자는 남쪽에서만 60만 명이 발생했고, 13만여 명은 학살됐다. 전쟁유족회와 학자들은 민간인 학살피해자가 100만 명을 넘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제적 피해 또한 엄청나다. 남한의 공업 시설 40%와 북한의 연료 공업 89%, 화학공업의 70%가 파괴됐다. 말 그대로 전 국토가 잿더미로 변하고 말았다.

△다시 마주 앉은 남·북한

극도의 대치상태에 있던 남북은 1971년 8월 적십자회담을 계기로 다시 마주 앉았다.

1972년에는 7.4 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됐고, 1984년 9월 북한의 수재물자 제공에 이어 경제회담, 체육회담이 개최됐다.

1991년 12월에는 남북기본합의서, 992년 1월 한반도 비핵화선언을 발표했지만, 군사정권의 한계를 넘어서지는 못했다.

본격적인 남북 화해의 물꼬가 터진 것은 김대중 정부가 들어선 2000년부터다.

그해 김대중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한반도의 대결구도를 청산하는 '6.15 남북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에 따라 6.25 전쟁으로 끊어진 남북철도가 연결되고, 개성공단이 건설됐다.

이산가족 상봉과 경제, 문화체육 교류도 활성화됐다.

2007년 10월 2일에는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두 번째 남북정상회담을 갖고 '10.4 선언'을 채택했다.

 

△냉각기로 돌아선 남북 관계

하지만 2008년 집권한 이명박 정부는 개성·금강산 관광을 중단하고 남북철도 운행을 중지시킨데 이어, 박근혜 대통령은 2016년 2월 개성공단을 전면 중단시켰다.

김대중·노무현 정신의 계승을 천명한 문재인 대통령이 2017년 취임한 뒤,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그러나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간 2차 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남·북·미 관계는 또다시 냉각기로 접어들었다.

지난 16일에는 탈북민과 보수단체의 대북전단지 살포를 둘러싸고, 북한이 개성공단 내 남북연락사무소를 폭파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북한은 또한 비무장 지대 감시초소에 병력을 재배치하고, 서해 북단의 해안포를 개방하는 등 사실상 9.19 군사합의 파기 수순을 밟고 있다.

 

△인천지역 비상시국회의, 한미워킹그룹 해체 및 평화협정 체결 촉구

대북 전문가들과 시민사회단체는, 남북교류에 대한 미국의 간섭·통제, 문재인 정부의 미온적인 태도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인천지역 제 시민단체 비상시국회의는 '6.25 전쟁 70주년' 성명을 통해 “한반도 평화를 위한 4.27 판문점 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을 즉각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남북 최고 책임자의 조속한 대화 ▲한미워킹그룹 해체 ▲대북전단 살포 금지법 제정 ▲한반도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 등을 요구했다.

또한 북측에 대해서도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높이는 조치를 즉각 철회하고, 남북 합의 이행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찬흥 논설위원·인천일보 평화연구원 준비위원 report6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