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역사회 코로나 감염이 지속되면서 감염증 전담병원인 인천의료원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24일 현재 인천 의료기관에 입원 치료 중인 코로나 확진자 150명 중 99명(66%)은 인천의료원에 입원해 있다. 나머지 27명은 길병원, 24명은 인하대병원에서 입원 중이다.

인천의료원 입원자는 지난달 중순만 해도 10여명에 불과했지만 이달 들어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 5일 107명, 15일 108명이다. 문제는 인천의료원의 코로나 병실 부족현상이 우려된다는 점이다.

인천의료원은 237병상을 보유하고 있지만, 병원 측은 코로나 환자 다인실 이용제한 등으로 입원이 가능한 최대치를 130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현재 사실상 병상이 포화상태로, 코로나 환자가 더 발생하면 감당이 어려워지는 상태에 놓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의료원 증설 또는 제2인천의료원 신설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바이러스 감염증이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현실로 미뤄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사실 코로나 사태 이전부터 인천지역의 유일한 공공의료기관인 인천의료원의 확장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그런데 “제2의료원을 짓겠다고 하면 '적자 어떻게 할 거냐'는 반응부터 나온다”는 조승연 인천의료원장의 말이 기막히다. 인천시가 의료원 확대에 부정적이라는 얘기다.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공공병원인 지방의료원은 전국에 35곳이 있다. 지방의료원은 병원 자체 수입과 정부 예산, 지자체 보조금 등으로 운영된다. 의료보호 대상자인 취약계층 환자 비중이 높고, 의료비가 저렴하다 보니 적자에 허덕이기 일쑤다.

하지만 공공병원은 공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곳이다. 다시 말해 저소득층을 비롯한 시민들에게 적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됐다. 수익을 목적으로 한다면 앞에 '공공'이라는 말을 붙여야 할 이유가 없고, 정부나 지자체가 운영비를 보조할 필요도 없다.

지금도 잘하고 있지만 공공병원이 튼튼했다면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상황에 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인천시가 인천의료원 확장에 적극 나서야 할 당위는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