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노니쿠스 이빨 화석 탄소 동위원소 분석 결과

영화 '쥬라기공원' 시리즈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공룡중 하나가 높은 지능을 갖고 자기보다 덩치가 훨씬 더 큰 공룡을 집단 사냥을 하는 '랩터'(raptor)다. 벨로키랍토르(Velociraptor)를 줄인 말인데, 사실 관객의 공포를 불러일으킨 영악한 집단 사냥 기술은 친척뻘인 '데이노니쿠스'(Deinonychus antirrhopus)를 모델로 했다. 영화에서는 랩터로 묘사됐지만 실제로는 '무서운 발톱'이라는 뜻을 가진 데이노니쿠스였던 것이다.

하지만 이 데이노니쿠스마저도 집단사냥을 한 것은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시코시 위스콘신대학교에 따르면 이 대학 척추고생물학자이자 웨이스지구과학박물관 관장인 조제프 프레데릭슨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데이노니쿠스의 이빨 화석을 분석해 이런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과학저널 '고지리, 고기후, 고생태학'(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에 발표했다.

데이노니쿠스의 집단 사냥은 작고한 예일대 유명 고생물학자 존 오스트롬 박사가 제기한 것으로 지금까지 널리 인정돼 왔다. 데이노니쿠스 몇 마리가 초식공룡인 테논토사우루스를 습격한 것으로 보이는 화석이 근거가 됐다. 그러나 최근에는 데이노니쿠스가 서로 협력해 집단 사냥을 한 것이 아니라 코모도왕도마뱀이나 악어처럼 여러마리가 같은 먹이에 달려든 것일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연구팀은 화석만으로는 집단사냥 행동을 직접 확인할 수 없어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면서 "살아있는 공룡(새)이나 근연종(악어)은 대개 집단사냥을 하지 않으며 자기들보다 큰 덩치의 동물은 거의 사냥하지 않는다는 점과도 모순된다"고 했다.

연구팀은 집단사냥과 성장하면서 섭취하는 먹이 간에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데 착안해 연구를 진행했다.

▲ 공룡이 털을 갖고있었던 것으로 밝혀지면서 털이 안 달린 것과 털 달린 데이노니쿠스(앞쪽)가 함께 전시돼 있다. [EPA=연합뉴스]

코모도왕도마뱀의 경우 새끼가 다른 성체에게 잡아먹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숲속에 숨어지내며 어미와는 다른 먹이를 먹지만, 집단사냥하는 동물은 어미가 늘 먹이를 공급해 어미와 같은 먹이를 먹는다는 점을 활용했다.

약 1억1천500만~1억800만년까지 북미지역에서 서식한 데이노니쿠스 이빨 화석에 남은 탄소와 산소 안정 동위원소가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면 집단사냥을 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데이노니쿠스의 이빨 화석뿐만 아니라 같은 지층에서 출토된 고대 악어와 초식공룡 이빨 화석의 화학성분도 분석했다.

그 결과, 백악기 악어 이빨 화석에서는 현대 악어와 마찬가지로 가장 작은 이빨과 큰 이빨 간에 탄소 동위원소 평균 값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새끼에서 성체가 되면서 먹이에 분명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결과는 어미가 새끼에게 먹이를 주지 않는 동물에게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던 것으로, 고대 악어뿐만 아니라 데이노니쿠스 이빨 화석에서도 같은 양상이 나타났다.

프레데릭슨 박사는 "이는 데이노니쿠스 새끼들이 어미의 돌봄을 받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영화 쥬라기공원이 '랩터'의 행동을 잘못 묘사했다고 믿는 이유"라면서 이번 연구에서 활용된 이빨 화석의 탄소 동위원소 측정 방법은 다른 멸종 동물의 집단사냥 등을 확인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