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이 코 앞으로 다가왔다. 코로나19 사태로 과거와 다른 선거 풍경이지만 각 지역구에 출마한 후보들은 저마다 얼굴 알리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 주말에 있었던 사전투표를 앞두고 유권자들의 가정으로 선거공보물이 배송됐다. 유권자는 공보물을 통해 후보자들의 대표 정책과 공약을 살펴보고 지역 발전에 힘을 보탤 인물을 선택한다.

일부 공보물 속에는 어디선가 본 듯한 재탕, 삼탕 공약들이 눈에 띈다. 특히 주거·교통 분야 공약은 기존에 계획 중이거나 누구나 알 법한 내용들을 나열하는데 그쳤다.

문화·체육복합시설과 공영주차장, 공원 등을 확충하겠다는 약속들은 구체적인 추진 계획 없이 추상적이고 두루뭉실하다.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경쟁적으로 내놓은 실생활과 거리가 먼 허황된 공약들도 있다. 후보가 당선됐을 때 당장 눈앞에 펼쳐질 만한 공약들은 찾아보기 어려운 셈이다. 여당과 야당의 공약에 별 차이가 없어 유권자들이 차별점을 느낄 만한 부분이 없다.

지역에 대한 이해와 배려 없는 공약은 특히 당의 추천 만으로 출마한 후보자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지난 2일 선거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던 날, 인천지역에 출마한 한 후보는 출정식에서 해당 지역구에서 긴 시간 활동한 국회의원이 목 놓아 외치던 공약을 그대로 들고 나왔다. 갑작스럽게 당의 추천으로 지역구에 출마하게 됐더라도 최소한의 관심이 있었다면 지역 발전이나 주민들의 실생활과 밀접한 공약들을 한 두개쯤은 생각할 수 있었을 것이다.

유권자들의 시각은 점점 넓어지고 있다.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선거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때라는 인식이 자리 잡았다.

지난 10~11일 이뤄진 사전투표 참가율은 26.6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4년 지방선거 당시 사전투표가 도입된 이후 가장 높은 투표율이다.

온라인을 중심으로 형성된 지역 커뮤니티에서는 후보자들을 낱낱이 파헤치는 게시글이 올라온다. 출마 지역에 자가 주택이 아닌 전세 아파트를 둔 후보는 뽑지 않겠다고 말한다.

후보들의 공약은 지역을 향한 관심과 애정을 평가하는 척도이기도 하다. 형식적인 공약을 재탕해 나열하기보다는 거창하지 않더라도 주민들의 바람과 지역 발전을 위한 계획이 담긴 진정성을 보고 싶다.

김신영 사회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