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 중 불이 가장 자주 나는 봄철이 다가오면서 주거 취약계층인 도내 비닐하우스 거주민들의 안전이 우려되고 있다.


불에 잘 타는 가연성 재질이 산적해 화재요인이 많지만 정작 관리 주체가 지자체여서 소방당국의 감시망에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소방당국에서는 해마다 자체 점검 등 화재 예방에 나서고 있지만 모든 거주민을 아우르기엔 사실상 역부족한 실정이다.


19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5~2019년) 발생한 화재 분석 결과 전체 4만9332건 기준으로 봄철(3~5월)에만 30.6%인 1만5111건이 났다. 겨울철(27.9%), 여름철(21.4%), 가을철(20%) 등이다.


이에 따라 비닐하우스 거주민의 화재 위험성도 높다. 올해 3월까지 9곳에서 불이 나 3명이 숨졌다. 지난해에는 39곳이 불에 타 2명 사망하고 4명이 크게 다쳤다.


거주민 대부분 60대 이상 고령이어서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게 도소방재난본부의 설명이다.


도내 주거용 비닐하우스는 3645동으로 2015년 2930동 보다 724곳 늘었다.


문제는 비닐하우스가 소방점검 대상 시설물이 아니면서 안전관리에 '공백'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현재 주거용 비닐하우스 현황을 파악하는 주체는 지자체다. 


다만 소방은 지자체로부터 현황을 넘겨받아 화재 안전교육과 소화기와 화재경보기 설치 등을 지원해주고 있다. 그러나 소방 자체 사무가 아니다 보니 단편적인 점검에 그치고 있다.


현재 화재경보기가 설치된 비닐하우스 전체 3645곳 중 절반을 살짝 넘긴 1942곳(53.2%)에 불과하다.


지난 17일 새벽 3시10분쯤 시흥시 한 주거용 비닐하우스에서 불이 나 60대 부부가 숨졌다. 이곳은 관리 대상에서 제외돼 있었다.


도소방재난본부 관계잔는 "비닐하우스에 대한 사무는 지자체에 있다. 소방대상물이 아니어서 점검 등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그나마 소방에서 인력을 자체 투입해 대응하고 있지만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 많다"고 했다. 이어 "악조건 속에서도 화재 예방을 위해 현장에 나가 취약한 부분을 더욱더 꼼꼼히 살피겠다"고 밝혔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