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에의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이 무산됐다. 17일 진행된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추경안 심사에서 인천·제주권에 감염병 전문병원을 설치하는 사업이 제외됐다. 질병관리본부는 2016년부터 인천·중부·영남·호남·제주 등 5개 권역에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사업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기획재정부는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추경안을 세우면서 인천·제주권를 제외하고 중부·영남권 설치 예산만 포함시켰다. 이전에 설립이 확정된 호남을 포함하면 3개 권역을 사업대상으로 한 것이다. 인천·제주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극적으로 소생했지만, 결국 예결위에서 제동이 걸렸다.

수많은 외국인이 입국하는 인천국제공항이 자리해 신종 감염병이 유입될 우려가 높은 인천이 배제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도 인천공항으로 입국한 중국인이었으며, 외국에서 감염된 사람은 모두 인천공항을 통했다. 특히 감염병 전문병원이 감염병 유입에 신속히 대응하고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설립되는 점을 감안할 때 인천 제외는 정책 판단의 오류로 밖에 볼 수 없다. 게다가 인천은 서울에 근접해 있다는 이유로 공공의료 기능이 취약해 민간 의료기관들이 감염병을 담당하는 실정이다.

5개 권역 중 하나라도 빠지게 되면 유기적·효과적인 광역 방역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가 차원의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모든 권역에 감염병 전문병원을 설립하는 것이 타당하다. 감염병 전문병원 전국 5개 권역 설치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도 포함돼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인천 감염병 전문병원을) 당장 코로나19 사태에 활용할 수 없으니 서두를 필요 없다"며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는데 귀가 의심스럽다.

앞으로는 신종 바이러스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인식인지, 발생해도 먼 훗날이니 거기까지 신경쓸 겨를이 없다는 얘기인지 혼란스럽다. 신종 감염병의 발생 주기가 계속 짧아지고 있다는 것이 의료계의 공통된 견해인데, 아직 못들어 봤다면 청각 교정이 필요하다. 감염병 전문병원 구축 지연에 따른 피해가 현재 코로나 사태로 나타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