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점입가경이다. 감염환자가 발생한 지역은 17개 시·도로 늘어났다.
정부도 위기경보를 최고 수위인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 한국인의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나라도 15개로 확대됐다.

인천에서도 코로나19가 현재까지 2명이 발생했다. 아직까지는 다수의 감염자가 발생하지 않고 있지만 북한과의 접경도시인 인천의 전망은 불투명하다. 에볼라나 메르스가 아프리카와 중동에서 발생한 반면 코로나19는 인접국인 중국에서 발생했다. 게다가 북한과 중국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이런 조건을 감안한다면 이번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 재난에 남북의 공동대응은 반드시 필요하다.
분단상황으로 인해 남북 사이의 자유로운 왕래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전염균은 경계가 따로 없다. 이는 산림 병충해나 말라리아, 돼지열병 등의 사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아직까지 진행형인 돼지열병은 우리 정부의 대규모 살처분 조치에도 불구하고 감염된 멧돼지가 철책을 넘나들며 전염균을 전파했다. 또 소나무 제선충과 같은 산림 병충해는 어느 일방의 방제만으로는 제선충 매개체를 완전히 차단하기 힘들다. OECD 가입국 중 말라리아 발생률 1위인 우리 측 환자의 89%는 인천을 비롯한 경기도와 강원에서 발생했다. 인천의 경우 남과 북이 말라리아 공동방역을 실시하지 않은 2006년과 2007년 인천지역 감염자 수는 452명, 484명에 달했지만 공동방역을 실시한 2008년과 2009년엔 164명과 162명으로 줄어든 구체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북한은 우리 정부의 방역협력에 대한 제안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코로나19에 대한 북한의 조치가 매우 적극적이라는 것이다. 북한의 노동신문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유입은 단순한 보건의료 문제가 아닌 국가의 존립과 관련된 문제'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중앙인민보건지도위원회는 위생방역체계를 국가비상방역체계로 전환했다.
지난 달 30일에는 국외에서 평양으로 들어오는 국제항공과 국제열차, 그리고 선박운행을 중단했다. 심지어 개성공동연락사무소도 코로나바이러스 위협이 완전히 해소될 때까지 잠정 중단했다.

이러한 선제적인 조치로 북한은 공식적으로 코로나19 감염자가 1명도 없는 청정지역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낙관만 할 수는 없다. 만일 감염자가 발생한다면 북한은 검사키트나 방호복 확보 등에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도 세계보건기구(WHO)나 유니세프(UNICEF) 등을 통해 코로나 관련 물품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금석 인천시 남북교류협력특별보좌관
5000만 국민과 2500만 인민의 생명과 안전이 걸렸다. 인도적 문제에 정치적인 문제가 개입해서는 안된다. 동독과 서독은 1973년 '재난공동대응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인도주의가 체제나 이념을 극복한 사례다.
지금이라도 남과 북은 코로나19에 대한 공동대응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번 위기가 '남북재난공동대응협정'이 체결되는 전화위복의 기회가 되기를 기원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