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관문인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항공정비산업(MRO)의 기반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는 인천의 요구가 다시 한번 확인됐다. 중국과 인도 등 주변국들의 항공 수요가 큰 폭으로 늘고 있어 이대로 가다가는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한 항공기 정비 수요조차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항공정비산업의 클러스터는 당연히 항공기 운항이 밀집해 있는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육성돼야 한다. 그러나 정부의 항공정비산업 육성 정책은 지역균형발전 등에 밀려 엉뚱한 지역에서 펼쳐지고 있다. 항공정비산업과 인천국제공항이 따로 가는 정책은 국가적 자원 배분을 왜곡시키는 처사다.

인천산학융합원과 인천시는 최근 송도국제도시에서 인천공항 항공정비산업 확충을 위한 워크숍을 열었다. 기조 강연을 맡은 인하대 최정철 교수는 인천공항의 항공정비 역량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인구 대국 중국과 인도에서 최근 항공 여행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어서다. 아직 국민들의 여권 보유율이 중국 8.5%, 인도 5.5%에 지나지 않은 점을 봐도 향후의 항공수요 증가추세를 알 수 있다. 이때문에 인천국제공항의 격납고 확대가 중요하지만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 부담 때문에 관련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현실이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항공정비단지로는 폭증하는 항공기 기체중정비서비스, 엔진정비서비스 수요 증가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아직 논의 단계인 인천공항 항공정비2단지 조성에 대해서는 공항구역 내와 공항구역 외로 구분해야 한다는 방안도 제시됐다. 구역 내에는 격납고와 항공부품물류센터를, 구역 외에는 엔진정비전문업체, 부품정비전문업체, 항공정비 전문인력 교육기관 등이 유치돼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공항의 항공정비 인프라가 부족해 인근 국가 공항으로 정비 수요가 넘어가는 사태가 초래돼서는 안된다. 지금껏 국회 계류 중인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안을 조속히 처리하고 항공정비클러스터의 조성에 본격 나서야 한다. 인천시도 산·학·연 등 지역 역량을 총동원해 스스로 항공정비산업을 인천의 지역선도산업으로 육성하는 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인천공항 항공정비단지는 지역의 미래 먹거리이자 인천 청년들의 소중한 일자리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