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가 오는 5월 총장 선거를 앞두고 구성원들 간에 첨예한 갈등이 일고 있으나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교수들은 기존 방식을 고수하는 반면, 교직원·조교·학생들은 참여 폭이 확대되어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 차기 총장을 결정하는 정책평가단의 참여비율이다.

교직원·조교·학생들은 교수가 77%를 차지하는 기존 룰을 '교수들의 독단적이며 일방적인 총장 선출방식'으로 규정하고 자신들의 참여비율(23%)을 대폭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교수 49%, 교직원·조교·학생 50%, 동문 1% 안을 제시했다. 교수가 560명인 반면 교직원 260명, 조교 130명, 학생 1만2000명에 달하는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기존 방식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며 "대학구성원 간 민주적 합의가 전제되지 않으면 총장 선거를 거부한다"는 단호한 태도다. 반면 교수들은 "참여비율 조정은 매우 과도한 요구로, 선거가 촉박한 시점에서 논의하기에는 적절치 않다"며 일축하고 있다. '같은 구성원이기는 하나 학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르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 양측은 지난해 12월부터 논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타협의 여지가 없는 이견만 확인하는 수준이다. 따라서 총장추천위원회가 구성되는 이달 말까지 접점을 찾지 못하면 기존 방식대로 총장을 선출해야 한다.

기계적인 양시양비론을 떠나 냉철히 판단하면 교수들이 틀렸다. 교수가 사실상 총장 선출권을 가지면 대학의 자율성과 민주성, 성장성은 제약을 받게 된다. 총장후보자의 총체적 능력이 아닌, 교수들의 파벌과 교내정치에 따라 총장이 결정되는 경우를 무수히 봐왔기에 하는 말이다. 별 능력은 없으면서도 교수들 간에 지지세가 강한 사람이 총장이 되면 학교 발전보다는 보은과 기득권 유지에 더 신경을 쓰기 마련이다. 교수사회의 정치 성향이 기성 정치권 뺨친다는 것은 오래된 얘기다. 교수 외 다른 구성원들의 참여비율이 늘어나면 능력은 없으면서도 정치성만 강한 인물이 총장이 될 가능성은 줄어들 것이다. 총장선출 과정에 모든 구성원이 적정한 비율의 권리를 가지는 것은 당연히 보장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