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국회 구성을 위한 총선이 채 2개월도 남지 않았다. 각 정당마다 지역구에 내세울 후보들을 고르느라 진통을 겪는 듯하다. 이런 가운데 한편으로는 유권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한 공약 개발에도 부산하다고 한다. 우선 주권자들의 눈길부터 끌고 보자는 약속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3류, 4류의 수준에도 못미친다는 우리 정치의 오래 반복된 관행이다. 국회의원은 국민의 대표 기관인 국회의 구성원이다. 이제 이같은 국회와 국회의원의 제 자리를 한번쯤 성찰해 볼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4·15총선에 대비해 각 정당 인천시당들에서는 지역현안 핵심 공약 준비가 한창이라고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인천 맞춤형 공약'으로 방향을 정했다. SOC주거, 경제·일자리, 복지·환경·여성·가족·노동, 교육·청년·문화, 남북경제 등의 5개 분야에서 모두 20여개의 정책을 내걸 계획이다. 이제는 미래통합당으로 이름이 바뀐 제1야당 인천시당도 최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인천 4대 핵심 공약'을 발표했다. 경인선 지하화 등 원도심 균형발전, 유아부터 무상 보육·교육 보장, 미세먼지 해결, 송도 워터프론트 사업 등 4대 공약을 1차로 발표했다. 이와 방향을 맞춘 70개 세부 공약도 곧 내놓을 것이라고 한다.

언제부턴가 국회의원 선거 공약들이 대통령이나 지자체장 선거의 공약을 본뜨고 있다. 국회는 본래 행정부를 견제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하는 3권분립의 핵심 요체다. 영국에서 태동한 의회주의는 처음부터 절대권력의 왕권을 견제하기 위한 장치였다. 한 지역의 도로나 철도를 건설하는 것은 국회의원들의 본업이 아니다. 그래서 헌법에도 국회의원은 국민 전체의 대표자로서 지역구만이 아니라 전국민의 이익을 위하여 활동하도록 정하고 있다. 대통령이나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이 마땅히 해야 할 일들을 공약으로 내걸 일이 아니다. 그보다는 국민 세금을 탕진하는 호화 외유나 온갖 불합리한 특권들을 포기하겠다는 공약이 더 국민들 가슴에 닿을 것이다. 이념이나 진영의 하수인을 넘어 국가와 전체 국민을 바라보고 가겠다는 약속이 더 듣고 싶다. 선거만 끝나면 배부른 귀족으로 돌변해 국민들 위에 함부로 군림하는 모습은 더 이상 보고 싶지 않아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