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국가 방역체계 개선이 시급하다. 치료제가 없고 전파력이 강한 새로운 감염병을 마주할 때마다 우왕좌왕하기 때문이다.

특히 인천의 경우 국가 관문인 국제공항과 항만이 자리잡아 해외 감염병 유입 길목이라는 점에서, 그 방역망을 더 촘촘히 짜야 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감염병 확진자 대부분이 외국에서 걸린 뒤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면서 공항을 중심으로 국가 방역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먼저 감염병 비상 대응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컨트롤타워'의 일원화다. 코로나19가 유입된 지 한참 됐는데도, 방역 지휘부를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국무총리실 상황관리실·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등 4개로 나눠 운영한다. 정부 부처 간 혼선을 겪고 있음은 물론 감염병 대처가 비효율적일 수밖에 없다. 방역 인력도 충분하지 않다. 외국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입국자는 급증하는 반면 지난해 검역관 한 명이 맡았던 입국자 수는 10만여명일 정도다. 이러니 방역은 겉핥기에 지나지 않을 게 뻔하다. 질병관리본부에 감염병 전문가가 많지 않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전문성이 떨어지는 행정 조직에 가깝다고 한다.

여기에 해상에 치우친 검역 체계를 공항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검역법 개정안을 하루빨리 처리해야 국가 방역체계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 개정안은 공항을 기점으로 지역사회와 연계한 해외 감염병 통합 관리와 감염병 위험도에 바탕을 두었다. 검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아울러 보건복지부 장관은 5년마다 검역전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검역관리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해야 한다는 내용도 들어 있다.

이젠 코로나19와 같은 해외 감염병이 '상시적'이라는 전제로 방역체계를 조정해야 한다. 세계 어느 곳에 감염병이 발생하면, 국내 유입 가능성도 매우 높아진다. 메르스와 코로나19 사태 등을 미뤄 볼 때 또 다른 감염병에 직면할 수 있다. 국가와 지자체 감염병 대응 시책에 국민이 협력하기에 앞서, 정부는 감염병 유입을 차단할 방역 시스템을 개선하고, '첨단기술'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