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밀려 인천에 드리워진 그늘이 짙다. 어제 오늘의 얘기는 아니지만, 이제는 인천시도 어떻게 하면 여기서 빨리 벗어날 수 있을지 고민을 거듭해야 하는 시점이다. 지금은 인구 300만명으로 서울을 제외하고 부산과 거의 맞먹는 수준으로 떠올라 전국 3대 도시를 자랑하는 인천이다.

외형상으론 국제공항과 경제자유구역 등을 건설해 날로 발전하는 듯하다. 겉으론 이렇게 성장세를 보여도, 속내를 살펴보면 여러 모로 서울의 '위성도시'로 전락하고 있지 않냐는 지적을 받는다. 서울과 인접해 그 영향력을 안고 살다 보니, 특히 독립적인 경제·문화생활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분석이다. 인천엔 큰 항구가 있지만, '냉전시대'로 불리던 1970년대까지만 해도 대외적으로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중국과 동유럽 등 공산권 국가와 단절된 상황이 오래 지속돼 대외 수출입이나 교류 등을 제대로 이룩하지 못하던 시기였다. 오늘날엔 해빙기를 맞아 활발한 교역을 하며 성장을 지속하고 있지만, 인천은 한참동안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인천이 저성장으로 주춤하고 있는 사이 서울은 나름대로 발전에 속도를 내면서 1000만 인구 시대를 열었다.

문제는 포화를 이룬 서울의 '찌꺼기'를 인천에서 처리하는 쪽으로 인식돼 왔다는 점이다. 그 대표적인 예로 수도권쓰레기매립지를 들 수 있겠다. 아직 인천시민들은 수도권매립지에서 내뿜는 악취와 비산먼지 등으로 고통을 받으면서도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서울시와 경기도의 각종 쓰레기를 받아내야 한다. 결국 인천은 수도권이라는 미명 아래 역차별을 당해 왔다는 평가다.

본보가 이런 상황을 인식하고 '인천, 서울의 그늘 언제까지 …'라는 기획물을 마련했다. '인천 밖 일터로 쫓겨 통근하는 시민들의 고행길', '이직하고 싶어도 마땅한 곳 없어-인재 발길 잡으려면 지역기업 경쟁력 강화해야', '역외소비율 높이는 건 쇼핑·관광인데, 인천시민 휴일 카드사용액 25% 서울서 긁어' 등의 기사는 다시 한번 서울에 가린 인천을 톺아보게 한다. 이제 시민들이 인천만의 '독립성'을 꾀하며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인천시가 내놓아야 한다. 서울과 가까운 현실은 어쩔 수 없지만, 지역 안에서 돈이 돌고 도는 '순환형 경제'를 세우는 일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