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 공장 화재가 반복되지만, 당국의 소방 관리는 소홀하다. '화학사고' 위험성은 높아지고 있는데도 소방당국의 대응력은 아주 낮은 수준이다. 이러니 시민들의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화학물질 관련 사고의 경우 자칫 폭발이나 유해물질 누출사고로 이어져 대형 인명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그만큼 정부 차원에서 하루빨리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지난 12일 발생한 서구 석남동 화학물질 제조공장 화재에서도 이런 실정은 그대로 드러난다. 소방관을 포함해 6명이 다치고 3억원의 재산피해를 낸 화재는 공장에서 인화성 화학물질을 다루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당시 소방당국에선 유해화학물질 취급 공장이 주변에 밀집해 있는 점을 걱정했다. 그래서 관할 소방서 인력 전체가 출동하는 경보인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3시간15분 만에 진화했다. 화재가 발생하자 화학사고 대응 전문기관인 경기 시흥119화학구조센터에도 지원을 요청했다. 하지만 센터 지휘차와 고성능 화학차 등이 현장에 도착하기까지는 무려 1시간 정도 걸렸다. 인천엔 자체 운영 중인 화학구조센터가 없는데다 화재 현장에서 시흥 센터까지는 30㎞ 넘게 떨어져 있는 탓이다.

인천엔 11개 산업단지에 1만443개 업체가 가동중이고, 위험물 시설은 4561곳으로 울산에 이어 전국 특·광역시 중 두 번째로 많다. 최근 4년간(2015~2018년) 전국 화학사고 319건 중 인천에서 일어난 사고가 20건(6.3%)에 이른다. 정부는 2012년 구미 불산 누출사고 이후 주요 국가산업단지 7곳에 119화학구조센터를 세웠지만, 인천엔 아직 없다. 인천시는 화학사고 위험성을 인식하고 자체 재원으로 화학대응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데도 정부는 예산 지원은커녕 방관만 한다.

화학물질 공장이 많은 인천에 사고는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대응 방안 마련은 필수적이다. 119화학구조센터 건립도 시급하고, 화학물질 업체 관련 정보와 교육도 인근 주민들에게 실질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주민들이 화학공장 화재 시 대피요령을 알아 안전하게 방비해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는 화학물질 사업장 관리 강화는 물론 소방 당국의 어려움을 헤아려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