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2일 경기도의회에서 열린 경기문화재단 행정사무감사에서 재단의 '정책자문관' 제도가 도마 위에 올랐다. 재단 조직도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정책자문관이 도입 취지와 달리 활동이 미미하고 업무 대비 인건비가 과다하게 책정됐음이 드러났다. 행감을 앞두고 김봉균 경기도의원이 재단 측에 정책자문관 활동 보고 자료를 요청했다. 재단이 제출한 정책자문관 활동 내역에 따르면 정책자문관의 활동은 고작 '경기도 공연장 현황', '경기도 축제 현황' 등을 파악하는 인터넷 리서치 업무에 불과했다.

이런 업무를 한 정책자문관에게 지난 4~10월까지 6개월간 급여로 지불된 비용은 총 3016만원에 이른다. 월 평균 430만원 정도를 받아간 셈이다. 반면, 경기문화재단 신입사원의 월급은 턱없이 낮다. 신입사원 월평균 급여는 2017년 165만4000원, 2018년 196만원, 2019년 270만원 수준이다.

경기문화재단의 정책 개발과 연구를 목적으로 중용된 '정책자문관'이라는 직책에 의구심이 든다. 정책자문관은 경기문화재단 강헌 대표이사의 직속 정책실을 통해 별도의 채용공고 없이 위촉직 형태로 고용됐다.

경기도 산하기관 공무직 채용의 경우 경기도 공공기관 담당관과 협의 과정이 있어야 하지만 위촉직은 경기도와 협의 없이 고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민의 혈세가 검증되지 않은 인물에게 무분별하게 쓰여져도 저지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고액의 급여를 받는 정책자문관이 한 일이라고는 초등학교 수준의 교육 과정만 거치면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정도의 인터넷 검색 정도라니 행감에서 과도한 월급 지급이라는 지적을 받을 만하다.

단순 업무를 하고 월 400만원을 받을 수 있다면 요즘 같은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 이만한 직장이 또 있을까 싶다. '꿀직장', '꿀알바'라 부르는 '꿈의 직장', '신이 감춰놓은 직장'이다. 꿈의 직장은 '꿈'을 위해 달려온 이들의 '꿈'을 위한,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일자리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박혜림 경기본사 문화기획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