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무상교복 지원 대상을 고등학교까지 확대한다. 해당 사업은 이재명 도지사가 성남시장 재직 때 펼친 '3대 복지정책' 가운데 하나로, 이 지사 당선 뒤 일찌감치 시행을 예고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수정 조례안이 8월 경기도의회 임시회에서 통과되면 시행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 지사는 성남시장 재직 당시 무상교복 사업이 '일석사조' 의미를 갖는다고 했다. 역내 교복생산 사회적기업인 협동조합을 설립하고, 지역 인력과 자재를 활용해 생산한 뒤 학생들에게 무상교부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무상교복 사업으로 사회적 경제 진흥과 지역경제 활성화, 무상복지 확대, 교복가격 현실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성남시는 무상교육 사업 취지가 제대로 실현될 수 있도록 영세교복생산자들의 협동조합 설립 지원을 독려하고 교복을 현물로 나눠주는 등 관련 예산이 지역 안에서 순환돼 지역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하지만 그 성과는 그리 알려진 바 없다.

이 지사의 무상교복 경기도 전역 확대는 성남시 경험을 밑거름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크게 우려할 일은 아니다. 하지만 '교복'이 갖는 특수성을 고려할 때 성남에서의 경험을 경기도에 그대로 적용하긴 어려워 보인다. 수혜자 규모나 지역 여건, 공급자 상황 등이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교복은 다른 상품과 달리 입학이라는 특정 시기에 주문이 한꺼번에 몰린다. 게다가 학교별 모델이 다르고, 학생들마다 사이즈도 제각각이다. 품목도 여럿이고 동·하복으로 나뉘니 감당하기 쉽지 않다. 결국 공급자는 수요보다 훨씬 많이 준비해 둘 수밖에 없는데, 이는 재고 대량 발생으로 이어진다. 교복 가격이 원가보다 터무니없이 높은 이유다.
이 지사가 경기도 전역에 무상교복 사업을 펼치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당초 성남시에서 추구했던 가치들이 실현하기 위해서는 몇 배 더 치밀한 고민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학생들의 다양한 기호와 정서가 고려돼야 하며,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서로 좋은 결과로 이어져야 한다. 무상교복이 단순히 시혜적 정책이 아니라, 경기도 내 사회적 경제 활성화의 대표적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더욱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