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만192명의 생존과 지역 車산업 붕괴 위기

한국지엠이 벼랑 끝에 섰다. GM은 최근 한국지엠의 법정관리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산업은행과 노조를 압박하고 나섰다. 회생 카드 대신 벼랑 끝 전술을 선택한 것이다. 한국지엠 노사도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채 임단협 교섭에 실패했다. 이러는 사이 GM이 못 박은 법정관리 데드라인은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협력사와 인천시민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3차례에 걸쳐 긴급 진단해 본다.

인천지역 내 한국지엠 협력사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이들이 외치는 '생존'이 결국 인천 자동차 산업과 지역경제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인천지역 협력사를 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관련기사 6·19면

17일 한국지엠에 따르면 현재 인천지역 자동차 부품기업은 남동구 245곳, 서구 96곳, 부평구 39곳 등 총 9512곳이다. 직접 관련된 근로자만 14만192명이다.

인천 자동차 산업은 지역 제조업 중 부가가치와 근로자 비중이 큰 주력 사업이다. 인천 제조업 가운데 자동차 산업 비중은 출하액 17.3%, 부가가치액 14.9%, 근로자수 13.3%를 차지한다. 부평공장에서 만드는 승용차 비중은 2012년 42.1%에서 지난해엔 65.7%까지 증가했을 정도다.

협력사의 생존이 중요한 이유는 인천 자동차 산업의 연계 구조에서 알 수 있다. 자동차는 소재, 가공, 단위 부품, 모듈 부품, 완제품으로 이어진다. 협력사가 무너지면 자동차 산업 자체가 붕괴된다.

현재 한국지엠과 직접 거래하는 인천지역 1차 협력사는 51곳(근로자 2만6908명)이다. 이들과 거래하는 2차 협력사는 170곳(근로자 8000명), 2차 협력사와 이어지는 3차 협력사는 300곳(근로자 4500명)이다. 도미노 붕괴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실제로 한국지엠 1차 협력사인 남동공단의 천일엔지니어링은 이번 사태가 터진 뒤 2·3차 협력사 3곳에서 금형(자동차 판금 등) 거래를 끊겠다는 통보를 받았다.

박수현 경남금속 대표는 "한국지엠 생산량이 줄면서 납품량이 30%에서 15%까지 줄었다"며 "노사는 상생을 통해 법정관리를 피하고, 정부는 적극적인 개입 정책으로 한국지엠 정상화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원식 쉐보레 부평로대리점 부장은 "이번 사태는 2001년 대우차 사태 때보다 더 심각하다"며 "협력사와 생산공장, 대리점 모두 고통을 받고 있다. GM과 한국지엠, 정부와 인천시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협력사 관계자 등 인천시민 3000여명은 이날 오후 인천문화예술회관 야외 광장에서 '한국지엠 조기 정상화 및 인천 경제 살리기 범시민 궐기대회'를 열고 노사의 상생 협력, 정부의 선 지원, 후 경영 실사를 촉구했다.

/황신섭·신나영 기자 hss@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