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도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인접한 섬으로 특히 단거리 주말 휴양지로 각광을 받는다. 안산·시흥·화성시에서 육로로 접근이 가능하고, 인천에서는 항로를 통해 순식간에 도착한다. 인접한 선감도와 선재도, 영흥도가 육로로 단숨에 연결된다. 풍도와 국화도 등 즐비한 섬들은 배로 20~30분이면 닿는다. 대부는 안산과 화성에 각각 속하고, 선재도와 영흥도는 인천이다. 그런 대부도가 요즘 난개발로 몸살을 앓는다. 2014년 녹색사회연구소가 발행한 '대부도 해양생태관광마을 기본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도는 전통적인 농어촌 지역으로 당시 인구 5700명 중 3400명이 농어업에 종사했다. 그러나 1994년 시화방조제를 건설한 후 거센 개발압력에 직면했다. 결과는 처참했다.

2003년 1만4400t에 달했던 어패류 수확량이 최근에는 1000t으로 줄었다. 2016년 생산녹지지역 총 개발면적 7만1097㎡ 중 대부분(89.6%)이 주민 소유였으나 현재 주민이 가진 땅은 30% 미만이다. 전체 부지 중 절반이 넘는 3만9515㎡는 단독주택으로 개발됐다. 섬이 무분별하게 개발되면서 어획량이 급속히 줄었고, 생계를 위해 원주민들이 헐값에 땅을 팔아치운 결과다. 허술한 제도가 난개발을 부추겼다는 분석도 있다. 2003년 정부는 기반시설이 부족한 도시지역 내 녹지지역과 비도시지역의 무분별한 개발을 억제하기 위한 '연접개발제한제도'를 도입했다. 소규모 부지를 묶거나 수차에 걸친 부분 개발이 일체 금지됐다. 대부도도 이 제도 안에서 보전돼 왔다. 하지만 2010년 '과도한 규제' 논란이 일면서 연접개발제한제도는 전면 폐지됐다. 보호장치가 풀리면서 폐염전부지 등에 대한 개발행위가 급증했다. 녹지지역 내 '소매점' 건립을 허용한 안산시의 조례도 한몫을 했다. 허가를 받은 뒤 펜션 등으로 용도를 불법 변경하는 꼼수개발이 성행한 것이다. 최근 3년간 토지형질변경 면적은 모두 5만6523㎡에 달한다.

급기야 시는 지난해 7월 조례를 개정하는 등 '난개발과 전쟁'을 선포했다. 폐염전 부지 개발조건을 강화하고 소매점 허가도 제한했다. 하지만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감시 인력의 충원과 정부차원의 가이드라인이 급선무라고 한다. 이제 대부도를 어찌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