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윤 지음, 새물결플러스, 484쪽, 2만2000원
18세기 조선은 양반의, 양반에 의한, 양반을 위한 세계였다.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두 첫새벽부터 노역과 오체투지로 삶을 살아내야 하는 조선의 백성들에게는 극한의 상황이었다. 관료들은 부패와 무능, 금권만능과 협잡이, 지식인 사이에는 패거리 문화와 사치 풍조가 만연했다. 그들은 폭압적으로 변해버린 18세기 조선식 유학을 숙주 삼아 곳곳에 악취를 무한 배설했다.

이런 숨 막히는 세상에서도 일부 지식인들은 글을 통해 조선의 위기를 적시했다. 변방의 가난한 미관말직이었지만, 이들은 '무엇'이 될 것인가가 아닌,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를 끊임없이 고민했다. 요동치는 국제정세와 영·정조의 탕평책이라는 정치적 한계상황 속에서도, 중세의 컴컴한 터널로부터 조선사회를 이끌어내기 위한 한줄기 빛이었다.

'아! 나는 조선인이다. 18세기 실학자들의 삶과 사상'이라는 부제가 말하듯 이 책은 18세기를 대표하는 15명 지식인들의 조선학을 살피고 나아가 이 시대 우리가 나아갈 바를 짚는다. 여기에는 정치·경제·사회·문화에 걸친 다양하고도 전문적인 식견과 조선의 비전이 담겨 있다.

18세기 저 지식인들의 목소리는 오래된 미래요, 이 시대의 지남(指南)으로 필요충분조건을 갖추고 있다. 옛것은 모두 진부하다는 편견의 차꼬를 벗어던지고 마음을 열어 이들의 글을 곱씹어볼 일이다. 18세기 조선의 실학은 세월의 갭을 뛰어넘어, 여전히 우리에게 요긴하고 유용한 학문으로 생생히 존재하는 까닭이다.

저자는 실학자들의 글은 단순히 읽고 쓰는 게 아니라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다섯 가지 감각이 모두 작동하여 살아 숨쉬는, '민족성과 고유성', '인간성과 보편성', '민중성과 현실성'을 아우르는 학문으로서 '실존실학'이었다며 글줄마다 경세치용이요, 이용후생이 자연스럽게 언급되었다고 주장한다.

또 실학자들의 글에는 건전한 가치관과 도덕과 정의와 양심을 본밑으로 한 인간주의 샘물이 흘렀다며 다양한 분야에 전문적인 식견과 철학으로 조선의 비전을 담았다고 강조했다.

연암 박지원과 우리고전에 대한 30여권의 저서를 이미 세상에 내놓은 바 있는, 고전독작가인 저자 간호윤 박사는 15명의 18세기 지식인들의 목소리를 빌어 지금 우리사회가 추구해야할 길을 조목조목 조명한다. 그의 알기 쉬운 고전풀이와 맛깔 나는 글 솜씨는 글 읽는 재미를 배가시킬 것이다.

/여승철 기자 yeopo99@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