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 문제가 다급한 가운데 인천시 고령사회대응센터가 문을 열어 귀추가 주목된다. 인천여성가족재단 산하조직으로 편제된 이 센터는 한국전쟁 이후 태어나 노년기에 접어들게 되는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를 중심으로 50대 이상 장년층의 인생 2모작을 돕는 것이 주요 기능이라고 밝혔다. 장년층의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생활 준비에 필요한 노동시장 참여, 정신·신체건강 증진, 사회·지적활동 등을 지원하는 전문기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2015년 노후준비지원법이 시행됐지만 여전히 50대의 노후준비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노년을 미리 점검하고 준비해 나가는 취지에서 고령사회대응센터가 더 관심을 끌게 됐다. 하지만 개소식에 참석한 인천시장과 내빈들이 강조한 기대와 평가와는 달리 어설픈 속살도 드러냈다. 우선 센터 운영과 관련한 체계적인 마스터플랜의 부재로 사업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얘기다. 먼저 문을 열고 보겠다는 안일한 행정 발상이라면 막다른 고령사회 문제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위탁운영은 어떠한지, 연구원들의 수준과 과제는 무엇인지, 프로그램은 적정하게 개발되는지 등이 제시됐어야 했다. 현재의 인력과 재정으로는 개소 포럼에서 제시된 전문가들의 일부 토론내용을 반영하기에도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올해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인천의 고령화비율은 11.4%로 전국 평균(13.8%)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다. 전국 17개 시·도 중 순위는 14위이다. 전체 인구에 대한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20% 이상을 점유하게 되는 초고령사회 진입도 경기·울산·세종시를 제외하고 가장 늦은 2027년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고령화의 문제는 미리 준비할수록 안정된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는 속성을 지녔기 때문에 각 세대에 노년교육이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인천시 고령사회대응센터가 고유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쌓은 노년학 분야 전국학회 등의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각 시·도가 유치하고 있는 지역노후준비지원센터 등과 같은 유관기관과 중첩·반복되는 사업도 조정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