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뿌리 지방권력'을 선출하는 제7대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 정가가 어수선하다. 내년 지방선거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 촛불 정국을 거쳐 탄생한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치르는 첫 전국 단위 선거이다. 이런 점에서 지방선거 이후 정국 주도권을 누가 쥐느냐를 판가름할 잣대로 평가를 받는다. 여야 각 당은 아직 선거를 하려면 8개월 넘게 남았지만, 이번 추석 연휴 민심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여론 모으기에 나선 상황이다. 선거를 눈 앞에 두고 여야가 '힘겨루기' 경쟁을 벌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래도 지방선거를 의식해 자치단체장과 의회가 사사건건 갈등을 빚는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결국 주민들을 볼모로 자기네 잇속만 챙기려는 게 아니냐는 비판 여론이 거세지게 마련이다.

인천지역에서도 그런 신경전이 감지된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벌써부터 곳곳의 기초단체와 의회에 '전운'이 감돈다고 한다. 재선을 노리는 기초단체장과 선거 출마를 선언한 기초의원들이 곳곳에서 충돌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각종 인사와 예산안, 행정사무감사 등에서 서로 협조하면서 긴장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데도 '막무가내식 싸움'이 표면화한다. 선거가 다가올수록 이러한 추세는 더 강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나치고 민망하다. 유권자들은 그러라고 이들을 선택하지 않았다. 가장 큰 문제는 다른 공직자들이 틈바구니 속에서 눈치를 보며 행정을 펼쳐야 한다는 점이다.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는 말이 있듯, 찝찝하고 헝크러진 분위기를 안고 일을 해야 한다. 공직 사회가 뒤숭숭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인천시에선 내년에 시장과 교육감, 군수·구청장 10명, 광역의원 35명(비례 4명), 기초의원 116명(비례 15명)을 새로 뽑아야 한다. '풀뿌리 민주주의'라는 말 그대로 시·군·구 의회까지 동시다발적으로 선거를 치러야 한다. 그러다 보니 어떤 선거보다 구도가 복잡하고 하나의 흐름으로 정리하기 어렵다. 내년 지방선거에 나서려는 후보군은 저마다 적임자임을 내세워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내 자질과 능력이 정말 그 위치에 걸맞은 것인지를 잘 톺아봐야 한다. 똑똑한 유권자들의 선택은 늘 옳다. 내년에는 '그 나물에 그 밥'으로 여겨지는 후보들은 나오지 말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