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불거진 정대유 전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의 SNS 글 파동의 불씨가 되살아난다. 인천시의회 조사특별위원회의 조사가 본격화됐기 때문이다. 정 전 처장을 비롯해 과거 송도 6·8공구 사업을 맡았던 조동암 부시장 등이 증인으로 나서면서 사태의 실체들이 점차 구체화되고 있다. 문제의 핵심은 송도 6·8공구 사업이 왜 그렇게 지지부진했으며 말썽만 많았느냐다. 이에 더해 시민의 재산을 지키려는 시도들에 대해 사업자 편을 들어 무산시키려는 외압의 실체가 과연 있었느냐는 것이다. 일단 시의회 조사특위는 이들 문제에 대해 의욕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보인다. 그러나 조사특위 활동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는 점도 확인된다. 증인들의 자기 변호적 증언과 관련 증거자료들이 충분치 않다는 점이다.

송도 6·8공구 사업은 송도국제도시 개발사업의 핵심이다. 이 때문에 사업 명칭도 '송도랜드마크시티' 개발이다. 그러나 이 사업은 지난 10여 년간 한발도 나아가지 못한 채 '특혜' 등의 논란만 빚어왔다. 이번 조사 활동을 통해 일정부분은 인천시가 스스로 자초한 점이 확인됐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들도 부실한 협약 때문에 이번 논란이 벌어진 점은 인정했다. 인천시는 2007년 포트만 컨소시엄과 랜드마크시티 개발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면서 '인천타워'의 건립 시한에 대해서는 명시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핵심사업인 '인천타워' 건립이 무산됐음에도 사업 해지를 못하고 사업자측에 끌려 다녔다. 2015년에 맺은 조정합의서에도 문제가 있었다. 개발이익에 관한 분배시기를 정해놓지 않은 탓으로 인천경제청과 사업자 간에 갈등만 빚어지게 한 것이다.

조사특위 활동은 이제 첫 발을 뗀 셈이다. 사태의 실체를 시사하는 증언이 나오면 이를 입증할 자료들을 시 집행부에 요구하는 등 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여기에 여·야의 정파적 이해가 끼어들 여지는 없다. 인천시민과 인천의 앞날을 위해 잘못된 것은 이 참에 정리하고 가는 것이 이번 조사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실체적 진실을 파헤치기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같은 조사활동의 결과를 토대로 감사원 감사나 수사 의뢰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