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 연말까지 방안 마련 … 재정부담은 불가피
인천공항에 불고 있는 정규직 전환 바람이 인천항에도 일기 시작했다.

그동안 인천 항만업계에선 공공부문의 불안전한 고용 형태가 항만 경쟁력과 서비스 수준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인천항만공사(IPA)는 23일 인천항 공공부문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추진 계획'을 토대로 인천항 공공부문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는 방안을 올해 연말까지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IPA 관계자는 "현재는 정규직 전환 규모와 소요 예산 등을 파악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IPA에 따르면 인천항 공공부문 기관(회사)은 IPA와 자회사 인천항보안공사(IPS), 사단법인 인천항시설관리센터(IPFC)가 있다.

IPA 비정규직은 전체 근로자 252명 중 43명(17%)이다.

IPS는 전 직원 383명 가운데 비정규직이 150명(39%)에 달하고 IPFC는 전체 149명 중 112명(75%)이 비정규직이다.

이들 3개 기관(회사)의 비정규직은 모두 305명으로 전체 784명의 약 39%에 이른다.

부산항의 경우 공공부문 비정규직 472명을 전원 정규직화하는 데 5년간 100억여원의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BPA)는 연말까지 이들 비정규직을 전원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며 지난 18일 이런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인천항 정규직 전환의 가장 큰 문제는 예산이다.

BPA 당기순이익은 1000억원이 넘는 데 반해 IPA 당기순이익은 100억원대에 불과한 점 때문이다.

IPA가 무턱대고 자금력이 충분한 BPA의 정규직 전환 방식을 따른다면 재정 부담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 IPS 사업 중 하나인 외항 경비의 경우 경비용역계약상 '갑'의 위치에 있는 부두운영사가 IPS 특수경비원(비정규직)을 간접고용하는 형태라는 점도 정규직 전환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IPA 관계자는 "이번 기회에 인천항 공공부문의 불안전한 고용 형태를 파악하고 개선책을 찾아 많은 이들이 고용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ehonilbo.com